전주세계소리축제가 올해로 10년째를 맞았다.
'판소리를 근간으로 세계 음악을 한 자리에서 즐기는 고품격 세계음악예술제'를 표방하며 2001년 첫걸음을 뗀 지 10년의 세월이 흐른 것이다. 신종인플루엔자의 영향으로 지난해 행사를 건너뛰어 횟수로는 올해가 9회째이다.
소리축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경제고문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유종근 전북도지사가 재선에 성공한 1998년 첫 논의가 이뤄졌다.
유 지사의 강력한 의지를 바탕으로 행사는 일사천리로 준비됐고 그의 영향력에 힘입어 이례적으로 행사 첫해부터 수십억원의 국비가 지원되기도 했다.
2001년 10월 13일부터 10일간의 일정으로 전주시내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등지에서 열린 제1회 행사는 43억원의 예산에 전 세계 15개국, 142개 팀, 4천명의 공연단이 참여한 전북지역 최대 규모의 축제였다.
당시 개막식에는 김대중 대통령 내외도 직접 참석해 힘을 실어줬다.
그러나 다분히 정치적으로 시작돼 짧은 기간에 만들어지다 보니 크고 작은 문제가 끊이지 않았다.
축제의 정체성을 둘러싼 문화계의 문제 제기가 이어졌고, 행사를 4개월 앞둔 시점에서 민간 공연전문가들이 전북도청과의 주도권 싸움 끝에 집단 사퇴하기도 했다.
결국, 소리축제는 저조한 시민 참여와 질 낮은 프로그램, 예술성 결여 등의 과제를 남겼다는 평가를 받은 채 첫 장을 마감했다.
소리축제는 이후 2005년까지 몸집을 불려가며 외형적으로는 전북지역 최고의 축제라는 위상을 이어갔다.
그러나 첫해에 40억원을 넘어섰던 예산이 이후 10억원대로 급감하며 공연단 규모가 2천~3천명 수준으로 급감했고 급기야 올해는 행사 기간도 예년의 7~10일에서 5일로 반 토막이 났다.
축소된 예산과 축제 기간이 상징하는 것처럼 소리축제 10년은 영광보다 상처가 더 많았다.
정체성과 대중화, 운영 능력 등의 숙제를 풀지 못하면서 '동네북' 신세를 면치 못했다.
정체성은 축제 첫해부터 논란이 됐지만, 여전히 판소리의 예술성과 대중성이라는 두 가지 명제 사이에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전북도의회 자료에 따르면 2008년 23억원을 들이고도 20만~25만명의 관람객을 모으는 데 그치는 등 대중화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운영 미숙 등의 과제도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행사를 주최하는 전북도청과 도의회 일각에서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심심찮게 나오는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다.
반면에 도민에게 부족한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주고 전통 소리의 자부심을 심어준다는 긍정적 평가도 많다.
거듭하는 축제를 준비하면서 문화계 인력의 공연 역량이 높아지고 수많은 공연 팀과 단체가 만들어진 것도 성과 가운데 하나로 꼽을 수 있다.
이제 10년의 명암을 뒤로하고 새로운 도약을 하려면 무엇보다 축제의 정체성부터 명확히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이에 맞춰 축제의 방향을 정하고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한편, 자생력을 키우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 문화계 안팎의 주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