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내달 양회 앞두고 사실상 기준금리 LPR 4개월째 동결
    中, 내달 양회 앞두고 '사실상 기준금리' LPR 4개월째 동결
    중국이 내달 초 있을 연례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사실상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4개월 연속 동결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0일 일반 대출 기준 역할을 하는 1년물 LPR을 3.1%로, 주택담보대출 기준이 되는 5년물 LPR을 3.6%로 각각 유지한다고 밝혔다. LPR은 매월 20개 주요 상업은행이 자체 자금 조달 비용과 위험 프리미엄 등을 고려한 금리를 은행 간 자금중개센터에 제출하고 인민은행은 이를 취합·정리해 공
    • 2025-02-20
    • 10:41:38
  • [뉴욕증시 마감] S&P 이틀째 최고치…MS 1.25%↑
    [뉴욕증시 마감] S&P 이틀째 최고치…MS 1.25%↑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19일(현지시간) 일제히 강보합으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추가 관세 위협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에 대한 신중한 태도에도 증시는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1.25포인트(0.16%) 오른 4만4627.59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4.57포인트(0.24%) 상승한 6144.15로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4.99포인
    • 2025-02-20
    • 08:21:45
  • [뉴욕증시 마감] S&P500 최고가 경신…인텔 16% 폭등
    [뉴욕증시 마감] S&P500 최고가 경신…인텔 16% 폭등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18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지난달 24일 이후 약 한 달 만에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26포인트(0.02%) 오른 4만4556.34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4.95포인트(0.24%) 상승한 6129.58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4.49포인트(0.07%) 오른 2만41.26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이날 막판 강세로 역대
    • 2025-02-19
    • 08:20:16
  • 금값 고공행진 계속되나…골드만삭스 연말 3100달러 전망
    금값 고공행진 계속되나…골드만삭스 "연말 3100달러 전망"
    미국의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올해 연말 금값 전망치를 온스당 3100달러(약 447만원)로 상향 조정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 전망치 3000달러(약 432만원)에서 다시 높여 잡은 수치다.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 리나 토머스와 단 스트루이븐은 최근 보고서에서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증가와 금 기반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자금 유입으로 연말 금 가격 목표를 온스당 3100달러로 올린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수요가 월평균 50t에 달할 수 있다면
    • 2025-02-18
    • 16:06:36
  • 미·중 긴장 고조로 기술 기업 탈중국 가속
    "미·중 긴장 고조로 기술 기업 탈중국 가속"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기술 기업들이 중국 외 다른 지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가 보도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다국적 기업들은 중국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졌다고 판단해 중국에 기반을 둔 공급업체를 다른 국가의 공급업체로 보완하는, 이른바 '중국 플러스 원' 전략을 추진했다. 하지만 이제는 아예 공장을 중국 이외 지역으로 이전하는 '중국 말고 어디든'(Anything But China·ABC)이라는
    • 2025-02-18
    • 10:56:41
  • 美 증시, 17일 대통령의 날 맞아 휴장
    美 증시, 17일 '대통령의 날' 맞아 휴장
    미국증시가 17일(현지시간) '대통령의 날'을 맞아 휴장한다. 미국 대통령의 날은 매년 2월 세번째 월요일로, 당초 미국 초대 대통령인 조지 워싱턴의 탄생일을 기념하던 것에서 미국 16대 대통령인 에이브러햄 링컨 및 그외 미국 대통령들까지 기념하는 것으로 의미가 확장됐다. 한편 2월 세번째 월요일은 캐나다 가족의 날이기도 해 이날 캐나다증시 역시 휴장한다.
    • 2025-02-17
    • 17:17:58
  • 지난해 日 GDP, 전년 대비 0.1% 성장…4년 연속 플러스 성장
    지난해 日 GDP, 전년 대비 0.1% 성장…4년 연속 플러스 성장
    지난해 일본 국내총생산(GDP)이 4년 연속 플러스 성장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내각부가 이날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12월 분기 성장률은 물가변동 영향을 제외한 실질 기준 전 분기 대비 0.7% 증가했다. 이는 로이터 예상치인 0.3% 증가를 크게 웃돈 수준이다. 특히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민간 소비가 전기 대비 0.1% 증가하며 예상(0.3% 감소)을 깨고 증가세를 나타낸 것이 크게 작용했다. 소비에 이어 민간 수요의 두 번째 축인 설비투자는 0.5% 증가했고, 수출은 1.1% 증가했다. 또
    • 2025-02-17
    • 09:32:45
  • 트럼프, 잇따른 관세 유예에 협상용 의구심 고조
    트럼프, 잇따른 관세 유예에 '협상용' 의구심 고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발표한 관세 조치 시행을 대부분 유예하고 있는 가운데 그의 관세 정책이 그의 주장과는 달리 협상 목적이 크다는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대(對)멕시코·캐나다 25% 관세, 대중국 10% 추가관세를 발표할 당시 이것이 협상용이냐는 기자 질문에 "아니다"며 "순전히 경제적 조치"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취임 후 현재까지 멕시코, 캐나다, 중국 등에 대한 관세를 비롯해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상호 관세, 수
    • 2025-02-16
    • 15:56:01
  • 트럼프, 동맹 캐나다·프랑스 디지털세 정조준
    트럼프, '동맹' 캐나다·프랑스 '디지털세' 정조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발표한 상호관세 방침이 캐나다와 프랑스의 '디지털세'를 직접 겨냥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 발표 후 백악관은 팩트시트(설명자료)에서 "미국엔 세법이 없고 오직 미국만이 미국 기업에 세금을 부과할 수 있어야 하지만, 교역 상대국들은 디지털 서비스세라는 명목으로 미국 기업들에 비용을 부과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세란 물리적 고정사업장 없이 국경을 초월해 사업하는 정보통신(IT) 기업에 물리는 세금을 의미한다.
    • 2025-02-15
    • 13:48:25
  • 상호관세에 부가가치세까지..트럼프 관세전쟁 확대하나
    상호관세에 '부가가치세'까지..트럼프 '관세전쟁' 확대하나
    '상호관세' 부과를 공식화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가가치세(VAT·이하 부가세)를 정조준해 "관세보다 더 징벌적인 세금"이라고 평가하면서, 관세전쟁이 부가세로까지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부가세가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부과되는 흔한 세금인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불공정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호 관세 부과 결정이 담긴 대통령 각서에 서명하면서 검토 요인으로
    • 2025-02-14
    • 13:40:39
  • [종합] 트럼프, 4월초 비관세 장벽 반영 상호관세 시행…무역흑자 8위 韓도 영향권
    [종합] 트럼프, 4월초 '비관세 장벽 반영' 상호관세 시행…'무역흑자 8위' 韓도 영향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각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두루 고려해 이르면 4월초 맞춤형 상호관세를 세계 각국에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한국도 '상호관세' 부과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가별로 맞춤형 상호관세 부과..."모두에게 공정할 것"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1시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관세 부과 결정이 담긴 대통령 각서에 서명하면서 "나는 '공정성'을 위해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 2025-02-14
    • 08:53:25
  • [뉴욕증시 마감] 상호관세 협상 여지에 상승...테슬라 5%↑
    [뉴욕증시 마감] 상호관세 협상 여지에 상승...테슬라 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계획이 발표됐지만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기대가 나오면서 뉴욕증시 3대 주가 지수가 동반 강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2.87포인트(0.77%) 오른 4만4711.4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63.10포인트(1.04%) 오른 6115.0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95.69포인트(1.50%) 오른 1만9945.64에 각각 문을 닫았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상호 관세 부과 결정이 담
    • 2025-02-14
    • 08:16:27
  • 임기 초부터 인플레 위기 처한 트럼프노믹스
    임기 초부터 인플레 위기 처한 '트럼프노믹스'
    출범 후 한달도 채 안 된 트럼프 2기 정부가 인플레이션으로 경제 정책에 위기를 맞고 있다. 그럼에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관세 부과와 금리 인하를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경제 전망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 상승했다. 이는 로이터 예상치(2.9% 상승)를 넘어선 동시에 작년 6월 이후 7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선 것이다. 특히 조류 독감 여파에 계란 가격이 53%나 급등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가격 변동성이 큰
    • 2025-02-13
    • 15:30:23
  • 美백악관 13일 모디 총리 방문 전에 상호관세 발표
    美백악관 "13일 모디 총리 방문 전에 상호관세 발표"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3일(현지시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방문하기 전에 '상호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2일 브리핑에서 상호 관세 일정 발표와 관련해 "모디 총리가 내일(13일) (백악관을) 방문하기 전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이날 미국에 도착해 13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백악관에서 열린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장 취임 선서식에서 '상호 관세
    • 2025-02-13
    • 15:21:23
  • [뉴욕증시 마감] 美소비자물가 상승에 혼조…테슬라 2.4%↑
    [뉴욕증시 마감] 美소비자물가 상승에 혼조…테슬라 2.4%↑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12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옷돌면서 투매 물량이 쏟아졌지만 저가 매수세가 낙폭을 빠르게 줄였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5.09포인트(-0.50%) 내린 4만4368.56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6.53포인트(-0.27%) 내린 6051.97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장보다 6.09포인트(0.03%) 오른 1만9649.95에 장을 마쳤다. 1월 미
    • 2025-02-13
    • 08:25:54
페이지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