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4일) 7.1337위안...가치 0.2% 상승 14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13위안 내린 7.1337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2%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647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602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7074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2.73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14 10:17
-
中 '400조 빚폭탄' 부동산 재벌 헝다의 몰락...파산 이어 상폐 行 중국 부동산 재벌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오는 22일 거래를 마지막으로 홍콩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된다. 한때 매출 기준 중국 부동산 기업 1위였던 헝다는 400조원이라는 천문학적 부채로 유동성 위기에 몰린 끝에 파산했으며, 결국 상폐 수순을 밟게 된 것이다. 13일 중국 제일재경일보 등 중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헝다는 전날 저녁 홍콩거래소로부터 상폐 결정을 받았다고 공시를 내고 오는 25일부터 홍콩증시에서 상폐돼 거래가 중단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월 홍콩법원에서 청산 명령이 떨어진 지 2025-08-13 12:4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3일) 7.1350위안...가치 0.1% 상승 13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68위안 내린 7.1350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1%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464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06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52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31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13 10:22
-
미·중 관세휴전 90일 추가 연장....미·중 정상회담 '청신호' 미국과 중국이 양국 간 '관세 전쟁의 휴전'을 90일 연장하기로 하면서 연내 미·중 정상회담 개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양국 협상단은 오는 10월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후로 이뤄질 가능성이 큰 미·중 정상회담까지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치열한 협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미·중 정상회담 앞둔 분위기 조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월 미·중이 합의한 '관세 휴전' 마지막 날인 11일(현지시간) 90일 더 휴전을 연장하는 내용 2025-08-12 15:30
-
미중 관세 휴전에도 中가전 수출 급감...철강 관세에 '발목' 중국의 가전제품 수출이 둔화하고 있다. 미중 관세 휴전과는 별개로 철강·알루미늄 관세 등 품목별 관세가 부과되면서 대미(對美) 가전제품 수출이 줄어든 영향이다. 미중 양국이 관세 휴전을 90일 추가 연장하기로 했지만, 가전제품을 비롯한 중국의 대미 수출은 감소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은 “세계 경제 침체와 지속된 무역 전쟁으로 중국 가전제품 수출이 압박을 받고 있다”고 세관 자료를 인용해 11일 보도했다. 중국기계전기제품수출입상회(CCCME)가 중국 해관총서( 2025-08-12 15:18
-
가격경쟁 단속에...中 7월 전기차 판매 5% 감소 중국의 7월 신에너지차 판매량이 전달 대비 또 감소세를 보였다. 당국의 가격 출혈 경쟁 단속에 업체들이 할인 폭을 줄이면서 전기차 구매 열풍이 수그러들었다는 분석이다. 12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7월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126만2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7.4% 늘었다. 하지만 전월 대비로는 5% 감소했다. 지난 4월 전월 대비 0.9% 감소세를 보인 이후 석달 만이다. 이는 지난 5월말 중국 정부가 전기차 업계의 가격 출혈 경쟁에 제동을 걸자, 업체들이 할인 폭을 줄인 가운데 나온 움 2025-08-12 10:31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2일) 7.1418위안...가치 0.02% 하락 12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13위안 올린 7.141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2%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142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341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176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92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12 10:19
-
日에 이어 대만도 美상호관세 해석 논란…"관세율 20%가 아니라 기존세율+20%" 일본에 이어 대만에서도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방식에 대한 해석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11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대만 언론에 따르면 대만 행정원 경제무역협상판공실(OTN)은 지난 8일 저녁, 7일 발효된 상호관세 20%가 기존 최혜국대우(MFN) 세율에 더해지는 구조라고 공식 확인했다. 예컨대 대만산 공구기계의 경우 MFN 세율 4.7%에 20%를 합산해 실제 세율이 24.7%에 달한다. 경제부 무역서는 이미 지난 4월 4일 이 같은 부과 방식을 설명했다고 밝혔고 양전니 OTN 총담판대표 역시 4월 16일과 이달 6 2025-08-11 15:20
-
상하이의 '잠 못 이루는 밤'...야간경제 '활황' 상하이의 주택양식인 스쿠먼 가옥이 밀집된 번화가 신톈디를 산책하고, 난징시루에 새로 문을 연 루이비통의 플래그십 스토어 '루이호'를 둘러보고, 푸둥미술관 등 심야 개방하는 박물관·미술관 전시 공연을 보고, 난창루 바에 들러 술 한잔 마시고, 푸둥의 동방명주 야경을 감상하고.. 최근 ‘원더풀 나이트 상하이(精彩夜上海)’ 구호를 내걸며 ‘야간경제 활성화’에 나선 상하이시 정부가 직접 추천한 야간에 둘러볼 수 있는 유명 랜드마크 관광 코스다. 미·중 무역전쟁 2025-08-11 15:13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1일) 7.1405위안...가치 0.03% 하락 11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23위안 올린 7.1405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3%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349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95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234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69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11 10:19
-
"첨단X, 친환경X, 안전X" 中 관영매체, 엔비디아 또 비판한 이유 "엔비디아 H20은 중국에 안전한 칩이 아니다." 중국 당국이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판매 칩 H20을 둘러싼 보안 우려를 제기하는 가운데, 중국 관영매체들도 엔비디아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0일 중국 국영중앙(CC)TV 산하 소셜미디어 계정(SNS) '위위안탄톈'은 "H20이 친환경적이지도, 첨단적이지도, 안전하지도 않다면, 소비자는 당연히 그것을 사지 않기로 선택할 수 있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이는 최근 중국 사이버공간관리국(CSA)이 엔비디아의 H20 컴퓨팅 칩에 2025-08-11 09:38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8일) 7.1382위안...가치 0.05% 하락 8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37위안 올린 7.1382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5%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381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701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106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41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08 10:17
-
美와 관세전쟁에도…中 7월 수출 7.2% '깜짝' 증가 중국의 7월 수출이 미국과의 관세 전쟁에도 7.2% ‘깜짝’ 증가했다. 대(對)미 수출은 크게 감소했지만, 동남아시아·유럽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하면서 관세 충격을 상쇄한 영향이다. 7일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중국의 7월 수출액(달러 기준)은 3217억8000만달러(약 445조5000억원)로 작년 동월 대비 7.2% 증가했다. 이는 로이터통신(5.4%)과 블룸버그통신(5.6)이 각각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평균과 올해 6월 중국 수출 증가율(5.8%)을 모두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미국과의 관세 전쟁을 이어가 2025-08-07 16:39
-
'빚더미' 탈출한 네이멍구…中 지방부채 해소 '속도' 중국 북부의 네이멍구자치구가 2년간의 부채 해소 노력 끝에 최근 '지방부채 고위험 지역'이라는 꼬리표를 가장 먼저 뗐다. 천문학적 지방 부채 리스크를 완화하려는 중국의 노력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7일 중국 제일재경일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최근 네이멍구자치구 인민대표대회 재정경제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고부채 지역 목록에서 해제된 성과를 공고히 하고, 부채 해소 작업을 계속해서 강화해 나가야 한다"며 사실상 고위험 부채 지역 목록에서 빠졌음을 시사했다. 중국은 2025-08-07 15:2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7일) 7.1345위안...가치 0.09% 상승 7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64위안 내린 7.1345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9%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291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589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5460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53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07 10:17
-
글로벌 명품브랜드, 상반기에도 실적 악화…中 시장은 회복세?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이 상반기에도 실적 악화를 이어간 가운데 명품시장의 큰손인 중국인들의 수요는 회복세를 보였다. 다만 엔저로 인한 일본 내 명품 수요가 줄어든 데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세계 최대 명품그룹 LVMH(루이비통모에헤네시)가 최근 발표한 상반기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당기 매출은 고정 환율 기준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한 398억1000만 유로(약 64조700억원)를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90억1200만 유로, 56억9800만 유로로 각각 15%, 22%나 줄었다. 구찌 모기업인 케링의 상 2025-08-06 16:38
-
"AI 인재 모셔라" 中 빅테크 대졸자 채용 확대 중국 대형 인터넷기업(빅테크)의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신기술 인재 수요가 급증한 가운데, 올 하반기 대졸자 채용 시즌이 시작됐다. 6일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알리바바그룹 계열사가 올 가을 약 7000명의 대졸자를 채용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앞서 상반기 채용보다 늘어난 것으로, 특히 AI 관련 인재와 직종이 전체 채용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계열사 중에서도 알리바바 클라우드, 알리바바 인터내셔널, 업무협업 메신저 딩톡의 AI 인재 채용 비중이 80%에 달한다. 숏폼플랫폼 틱톡의 2025-08-06 15:48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6일) 7.1409위안...가치 0.06% 하락 6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3위안 올린 7.1409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6%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768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90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5125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67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8-06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