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재정부는 장·차관 없는 상태에서 3월을 보낸 탓에 각종 업무 누수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차관급과 더불어 1급 이하 국장급에 이르기까지 인선작업도 빠듯하다.
현오석 내정자가 22일 국회 정부조직법 통과 후 바로 임명된다 하더라도 빼곡한 일정을 소화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당장 26일에는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을 내놓아야 한다. 취임 후 국내에서 치르는 첫 번째 과제인 셈이다. 현장 일정보다 우선시되는 부문이다. 추가경정예산과 일자리, 복지재원 마련 등 포괄적 밑그림이 이 정책방향에 담길 예정이다.
4월은 1분기의 끝과 2분기 시작이라는 점에서 장관급 인사들의 회의와 현장 일정이 가장 많은 시기다. 박재완 전 장관의 경우에도 4월에는 며칠을 제외하고 현장 방문과 회의에 분주한 시간을 보냈다.
박 전 장관은 4월에 국무회의 4회, 위기관리대책회의 4회, 물가관계장관회의 3회, 국가정책조정회의 3회 등 장관급 회의만 모두 14회 참석했다. 이처럼 많은 장관급 회의가 올해 3월에는 장관 임명이 늦어지고 정부조직법 통과가 지연되면서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것이다.
올해는 경제정책조정회가 경제관계장관회의로 지난 1998년 이후 15년 만에 부활한다. 경제관계장관회의가 부활하는 것은 경제정책과 쟁점 현안 등에 대한 관계부처간 논의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경제부총리는 4월에 첫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할 가능성이 크다. 경제장관회의를 더 이상 늦출 수 없기 때문이다. 첫 회의에서는 경제동향 점검과 주요 경제정책 방향 설정 등 경제정책 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이 논의될 전망이다.
향후 재정·금융·세제 등 국민의 경제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상 모든 사항이 논의 대상으로 포함될 예정이다.
4월에는 중요한 해외 일정도 포함돼 있다. 18~19일 러시아에서 열리는 G20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경제부총리로서는 처음으로 해외 공식석상에 참석하는 셈이다. G20 국가에서도 한국의 경제부총리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의 경제 컨트롤타워로서 현장 방문도 이 시기에 이뤄진다. 2분기가 넘어가면 사실상 하반기로 접어들기 때문이다. 5~6월은 정책을 본격적으로 집행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 방문보다 실무에 집중해야 한다.
역대 재정부 장관들도 3~4월에 현장 방문 일정을 많이 잡았다. 박재완 전 장관도 광주 중소기업 방문이나 분당 스퀘어 등 현장 일정을 이 시기에 잡았다.
현오석 내정자가 한 달간 개점휴업 상태로 놓인 기획재정부 안살림을 챙기고 대외적으로 경제부총리의 행보를 보이려면 하루에도 4~5개 일정을 소화해야 가능한 부분이다.
이 같은 일정으로 미뤄볼 때 세종청사 집무실은 당분간 비어 있을 공산이 크다. 재정부에서도 장관 임명 후 세종청사에 머무르는 기간이 길기 않을 것이라는 반응이다.
재정부 한 고위관계자는 “아무래도 임명된 후 현장과 장관회의 일정 등이 잡히면 세종청사 집무실을 이용하기에는 시간이 빠듯하지 않겠냐”며 “4월 일정이 상당히 빡빡하기 때문에 어떻게 일정을 소화할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