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서히 열리고 있는 한국과 중국 사이 하늘길이 다시 닫힐 경우, 현지 사업에 차질을 빚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 당국이 경기 활성화를 위해 풀기로 했던 8000조원의 투자 등도 늦어질 수 있어 더욱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베이징 외국인 입국 금지 조치 해제 더욱 불투명해져
15일 업계에 따르면 베이징에서 이달 11일부터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하면서 지난 3월에 시행된 외국인 입국 금지 조치의 해제 시점이 더욱 불투명하게 됐다. 베이징에는 현대자동차의 생산공장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의 현지 핵심 거점이 자리 잡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1일부터 한·중 정부 합의로 기업인 입국 절차 간소화 제도(패스트트랙)를 도입한 바 있다. 하지만 베이징은 기업인 패스트트랙에서도 예외 지역으로 남겨졌으며, 국제선 직항도 코로나19 이후 재개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베이징을 중심으로 코로나19의 2차 확산 조짐이 커지면서 현지 진출 국내 기업인들은 허탈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말 중국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코로나19 인민전쟁’에서 사실상 승리를 선언한 뒤 현지 사업의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컸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 당국은 최근 코로나19 전으로 돌아가기 위한 경제 활성화에 불을 지피기 시작했다. 지난 10일에는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가 직접 나서 한국 기업인에게 중국 경제건설 정책과 한·중 경제현안에 대해서 직접 설명하는 자리도 가졌다.
싱하이밍 대사는 이날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주한 중국대사 초청 웹세미나’에서 “산업구조 고도화,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인프라 건설이 포함된 '중국판 뉴딜(경제건설계획)'은 올해 안에만 8조 위안(약 1360조원) 예산이 집행될 예정”이라며 “향후 5년간 전국적으로 48조6000억 위안(약 8262조원)의 규모로 투자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신인프라 건설은 5G·산업인터넷·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정보기술(IT) 등의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프로젝트”라면서 “투자방식과 투자주체, 시장개방성에 있어 이전과 달리 한국기업에게 커다란 사업 기회가 될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덧붙였다.
고사 직전 항공업계의 바람인 양국 간 국제선 항공편도 늘릴 예정이었다. 현실화되면 항공업계뿐만 아니라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입출국 과정이 전보다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됐다.
앞서 현지 유력 언론인 환구시보는 최근 슝지에 중국 민항국 대변인이 기자회견에서 “국제 여객기 운항 조정에 대해 관련국들과 소통 중으로 업무 진행 상황을 보면 조만간 해당 국가들과의 항공편이 적절하게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중국 민항국도 지난 4일 “조건에 맞는 일부 국가의 항공편을 늘릴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위기 상황 언제까지”... 답답한 재계
하지만 베이징발 코로나19 2차확산 조짐으로 모든 게 미뤄질 위기에 놓여 있다. 현지에서 사업을 벌여놓고 왕래하지 못하는 기업들에는 큰 어려움일 수밖에 없다. 숫자가 이를 방증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의 체감경기지표는 사상 최악의 수준이다. 그만큼 위기감이 크다는 뜻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1분기 중국 진출 한국기업 경기실사지수(BSI)는 시황(22)과 매출(20) 모두 2015년 처음 집계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에 마음이 급해진 기업들은 현지에 다양한 통로를 통해 인력을 파견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달 도입한 '한중 기업인 신속 통로 제도'를 이용해 중국에 들어간 예외 입국 기업인은 불과 한달 만에 2361명을 기록했다. 이에 앞서 삼성과 LG 등 국내 주요 기업 계열사들은 현지 공장을 챙기기 위해 특별 전세기까지 운영할 정도였다.
재계 1위 삼성전자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도 지난달 18일 중국을 직접 방문해, 급한 현안들을 챙기고 복귀했다. 당시 이 부회장은 입국 절차 간소화 대상으로 14일간 의무격리가 면제됐다.
재계 관계자는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코로나19 2차확산이 현실화될 경우 중국을 포함한 세계 경제성장률이 당초 예상보다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며 “베이징의 코로나19 확산 추세가 잠잠해지길 바랄뿐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