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종시 수정안 마련을 마무리함에 따라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선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원안 고수 입장을 보여온 박 전 대표의 입장이 향후 ‘세종시 정국’의 향배를 가르는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돼서다.
박 전 대표는 세종시 수정론과 관련, 지난해 10월 “원안을 지키고, 필요하다면 플러스 알파(+α)가 돼야 한다”, “설득과 동의를 구한다면 국민과 충청도민에게 해야지 나에게 할 일이 아니다”고 한후 줄곧 ‘침묵 모드’다.
지난 4일 지역구인 대구를 방문했을 때도 세종시에 대해 “이미 수차례 입장을 밝혔기 때문에 더 할 말이 없다”며 언급을 피했다. 세종시를 행정복합도시로 건설해야 한다는 원안을 지지한다는 입장에서 더 이상 변화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대구 방문시 신년교례회 축사에서 ‘신뢰와 화합’을 강조한 것은 세종시에 대한 대국민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한 수도권 출신 친박계 의원은 “정부가 행정부처 이전을 전면 백지화하는 게 문제”라며 “자족기능 보강을 위해서라도 관련 부처의 이동은 불가피하다”고 못박았다.
다른 친박계 의원도 “어떤 수정안이 나오더라도 충청도민을 만족시키기는 힘들 것”이라며 “상황 변화가 없는 한 박 전 대표도 입장을 변경할 아무런 이유가 없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박 전 대표가 원안고수 입장을 밝힌 만큼 몇 개 부처라도 이전하겠다는 식으로 정부와 친이(친이명박)계가 협상해야지, 부처이전 백지화를 내건 이상 협상의 여지가 없다는 게 친박계의 생각이다.
다만 여권 일각에서는 “내가 아니라 충청도민을 설득하라”는 박 전 대표의 언급에 주목하고 있다. 충청도민이 만족하는 수정안이라면 반대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한 것이다.
친이계 핵심인사는 “이명박 정부 출범 후 박 전 대표가 여권 주류에 반대만 하는 사람으로만 비쳐질 수는 없는 만큼 유연함을 내비칠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