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녹색성장을 위해서는 금융권의 역할이 더욱 강조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녹색금융상품 판매실적이 늘기 위해서는 은행 자체적으로 수익성과 분석능력이 제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18일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녹색금융 수요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 은행권의 녹색금융상품 취급 실적은 미미한 수준이다.
에너지 환경 등 녹색성장 관련 중소기업 120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약 80% 가 녹색성장 정책이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거나 기술력을 높이고 매출과 수익을 높이는 등 중소기업 경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녹색성장과 관련한 애로사항 조사에서는 81.3%가 자금조달문제를 꼽을 만큼 녹색금융의 역할이 기대에 미치고 있지 못했다.
전문인력 확보문제(50.7%), 제품판로 개척문제 (41.3%), 원천기술 확보 곤란(37.3%) 등은 상대적으로 응답 비율이 낮았다.
또한 중소기업이 녹색성장 참여 확대를 위해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도 금융상품 개발 및 지원(48.0%)이 가장 높게 나왔다.
이 처럼 녹새금융상품에 대한 수요는 많지만 은행권의 녹색여신상품 취급 실적규모는 여전히 크지 않은 상황이다.
올해 2월 말 기준 녹색여신상품 취급 규모는 약5조7000억원에 그쳤다. 지난해 9월(4조3648억원)에 비해 30% 가량 증가한 수치지만 절대적인 규모는 여전히 약한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에서 녹색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0.53%수준이며, 녹색예금이 원화예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9%에 불과했다.
2월 말 기준으로 녹색 예·적금 규모는 약 9조7306억원으로 오히려 지난해 말(9조9528억원) 규모보다 다소 감소하기까지 했다.
더구나 아직 녹색금융상품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각 은행들은 녹색금융상품 실적을 자의적인 기준에 따라 측정하고 있어, 무늬만 녹색금융인 경우도 적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녹색인증제 시행으로 녹색금융상품 실적을 보다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녹색인증제 도입이 곧바로 녹색금융 발전을 가져온다고는 볼 수도 없다.
구정한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녹색인증제가 인증된 기술이나 사업에 대해 높은 수익성과 낮은 리스크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며 "결국 은행권이 녹색금융상품 취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녹색사업에 대한 수익성과 리스크에 대한 분석능력이 높아져야 한다"고 밝혔다.
jjong@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