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세권개발(주)은 28일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부지에 들어서 있는 용산기지창(현 수도권철도차량관리단) 시설에 대한 철거 및 토양오염원 처리사업의 실시설계를 모두 마치고 이르면 내년 2월 착공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용산역세권개발(주)은 당초 계획대로 내년 말까지 160개 동에 이르는 차량 정비시설 및 검수시설을 모두 철거해 충북 제천 등으로 분산 이전할 계획이다.
37만2000㎡(11만2000평) 부지에 총 공사비 5000억원(잠정)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에는 삼성물산을 주간사로 삼성엔지니어링, GS건설, SK건설, 롯데건설 등 5개사가 참여한다.
이에 따라 1905년 용산공작반으로 발족해 국내 최고(最古) 철도시설로 명맥을 이어오던 용산기지창은 106년 만에 자취를 완전 감추게 됐다.
1927년 국내 최초의 증기기관차 제작을 통해 한국 철도산업 중흥의 기적소리를 올렸던 용산기지창은 이승만․박정희 대통령의 전용 열차 제작에 이어 서민들의 애환을 싣고 달리던 비둘기호와 통일호 등 일반 열차 제작과 차량 정비 등을 맡아왔다.
용산역세권개발(주)은 내년 말 철도시설 이전이 끝나면 2012년7월 기반시설 착공과 2013년 1월 건축허가를 거쳐 2016년 말 예정대로 전체 단지를 완공할 계획이다.
용산역세권개발(주) 관계자는 “개발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용산은 신공항철도와 자기부상열차 등 15개의 철도노선이 집결되는 녹색교통 혁명의 새로운 발상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