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지식경제부는 15일 우리나라의 최대 무역상대국인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지경부는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중국 정부는 미국 리먼브러더스의 파산 이후 '내수 확대'를 위한 재정지출 강화에 정책기조의 중점을 두고 인프라 확충과 가전ㆍ자동차 등의 농촌 소비를 확대하고 있다"며 "우리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중국과의 FTA 추진 여건을 검토하겠다"고 보고했다.
중국 정부는 내수 부양과 가전ㆍ자동차의 농촌 소비를 확대하는 데 총 4조위안을 지원하는 정책을 펴 이 시장을 노린 각국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최근 5년간 중국 시장에서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이 대체로 증가하고는 있지만 경쟁국 업체들의 시장 잠식으로 한국 디지털 TV의 점유율이 2008년 12.2%에서 지난해는 7.7%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경부는 "중국의 내수 지향 기조에 대응해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다른 선진국 및 대만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갖도록 정부와 민간기업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아세안 회원국 등과 이미 FTA를 체결한 상태이고, 대만과는 오는 6월께 경제협력협정(ECFA)을 맺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한ㆍ중간 무역규모는 1410억달러를 기록했고, 중국 수출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23.8%를 차지하고 있다.
uses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