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손고운 기자) 손해보험사들이 자동차보험 인상 시기 및 인상 수준을 놓고 눈치보기에 여념이 없다.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손보사들은 현재 정비수가 인상분을 반영한 자동차보험료 조정 수준에 대한 분석을 마친 상황이다.
그러나 실제 보험료 적용 시점을 두고 서로 눈치만 살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비수가 인상을 보험료에 적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실무부서에서는 이미 보험료를 얼마나 올려야 할지 결정을 내린 상태다.
다만 자동차보험료 인상이 국민정서상 민감한 문제이다 보니 누가 먼저 총대를 멜지 미루고 있는 것.
인상 수준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통상적으로 손해율 악화 등에 따른 수익 감소를 감내할 여력이 있는 대형사보다 중소형사의 보험료 인상폭이 크다.
이에 따라 일부 소형사의 경우 내부적으로 두자릿수로 보험료를 올려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실제로 두자릿수 인상분을 그대로 반영하기는 어렵다는 게 업계 반응이다.
자동차보험의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상황에서 타사에 비해 지나치게 많이 올리면 마케팅에 차질을 빚어 수입보험료 자체가 줄어들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물가안정 및 소비자보호를 내세우고 있는 금융감독원의 눈치도 안 볼 수 없다.
결국 대형사들이 먼저 보험료를 인상하면 이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인상폭이 결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편, 보험요율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보험개발원도 자동차보험료 인상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개발원이 정비수가 인상을 반영해 보험료를 5% 가량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 것처럼 알려졌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보험사와 정비업체 간의 계약내용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인상폭 역시 회사별로 차이가 있어 인상 수준을 일정 범위 내로 한정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또 현재 진행 중인 참조순보험료 조정 작업에 정비수가 인상분은 물론 ABS장착차량과 오토차에 대한 할인폐지에 대한 부분도 반영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매년 손해율 등 보험료 인상요인을 반영해 산출하는 참조순보험료율은 각 보험사가 보험료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주요 사안들을 제외한 채 참조순보험료율 접수를 끝낸 데다 최근에는 보험사들도 요율 조정에 자사의 경험치를 많이 활용하고 있는 추세"라며 "이번 자동차보험료 인상에 참조순보험료율이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gwoo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