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강행한다면 그 자체로 한반도 평화와 안전을 해치는 심각한 무력도발”이라며 “우리 민족을 파국으로 몰고 갈 핵무기와 대량살상무기는 어떤 이유에서라도 절대 용납할 수 없고, 북한이 핵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와 고립뿐”이라고 강조했다.
황 대표는 “정부는 임기 종료 직전까지 철통 같은 국가안보 태세를 유지하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신속히 대응하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혜훈 최고위원은 “북한의 3차 핵실험은 1, 2차와 차원이 다르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라며 “장거리 로켓 발사를 성공한 상황에서 3차 핵실험까지 성공하면 명실상부한 핵보유국이 되고 고농축우라늄 핵실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최고위원은 “우라늄 농축 실험의 경우 대규모 시설이 필요치 않아 어디서 얼마나 농축 작업이 진행되는지 추적·감시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한다”면서 “북한이 핵 폐기를 약속해도 검증할 길이 없어지고 결국 협상을 통한 비핵화가 사실상 불가능해진 것 아닌지 걱정이 많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핵실험이 새로운 차원으로 전환된다고 생각되는 만큼 정부와 국제사회는 만성적인 낙관론, 매너리즘에 빠지지 말고 강력한 제재수단을 포함해 새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면서 “또한 정치권도 당리당략을 배제,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미국, 중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등과 공조해 북한이 핵실험을 포기할 수 있도록 단호한 경고를 전달해야 한다”면서 “또한 북한이 도발할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태세를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이날 회의에서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류우익 통일부 장관으로부터 북핵 문제를 비롯한 북한 동향에 대해 비공개 보고를 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