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카드, KB국민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하나SK카드, 비씨카드 등은 올해 카드 부가 혜택을 지난해 절반 수준으로 줄이기로 하고, 관련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카드사들은 주력 신용카드 40여개의 부가 혜택을 올해 축소하겠다는 의향을 금융 당국에도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하나SK카드는 최근 금감원에 지난해 출시된 신용카드 가운데 최다 판매 기록을 세운 ‘클럽SK’ 카드의 부가 혜택 이용자를 줄이고자 전월 실적을 상향 조정하겠다는 뜻을 전달했다.
이 카드는 SK텔레콤 통신 요금을 자동 이체할 경우 전월 실적이 30만원 이상이면 최대 1만원, 60만원 이상이면 최대 1만5000원을 할인받을 수 있었지만, 전월 실적 구간이 10만원 가량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하나SK카드는 ‘클럽SK’가 최고 인기를 누리고 있으나 지난해 영업 손실이 200여억원에 달하는 등 경영 상황이 좋지 않아 사용 실적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문제는 ‘클럽SK’ 카드가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데다 출시한 지 1년이 안 됐기 때문에, 고객들이 불만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밖에도 신한카드는 오는 7월부터 SK엔크린 멤버십이 탑재된 제휴카드의 SK주유소 OK캐시백 적립서비스를 주유 금액의 0.3~0.5%에서 주유 ℓ당 5원으로 바꾼다. 적립 대상에서 등유는 빠진다.
국민카드 ‘와이즈카드’는 6월부터 기본 포인트리 적립에 실적 기준이 신설된다. 전월 이용액이 30만원 이상이 돼야 모든 가맹점에서 0.5%를 적립해준다.
삼성카드는 8월부터 ‘프리머스’ 영화관과 제휴한 미니 팝콘 무료 제공 서비스를 중단한다. 대상 카드는 ‘프리머스 삼성티클래스앤오일카드’, ‘프리머스 삼성지엔미포인트카드’ 등이다.
현대카드는 7월부터 일부 업종의 M포인트 적립률이 변경돼 전월 실적에 따른 적립 기준이 신설되며 롯데카드는 9월부터 ‘드라이빙 패스 카드’의 주유 할인을 기존 ℓ당 80원에서 60원으로 줄이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