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 따르면 소음, 빛과 함께 대표적인 감각공해 중 하나인 냄새는 후각의 반응, 순응 시간이 짧고, 성별·연령·건강상태 등 개인 특성에 따라 느끼는 강도가 달라 관리가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축사 주변 지형, 풍향·풍속, 온·습도 등 외부 환경에 따라 특정 지점의 악취 농도가 급변할 수 있다는 점도 현재 실효성있는 대책 마련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지역 환경이슈로 대표되는 축사 냄새 문제가 축산업 전체의 사활이 달린 문제로 보고 규제 일변도의 정책에 앞서 축산농장 환경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농가에 ‘스마트 무창축사 표준모델’ 제시 및 사업 지원을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시가 특히 이달 중 착수할 예정인 '안성맞춤형 스마트 무창축사 표준모델 수립 용역'에서는 축산냄새 발생의 근본적 원인을 밝히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관내 기상자료 분석 △사육시설 환기구조 및 에너지 부하 조사 △강제환기식 축사 수치해석 모델 개발 △환경 조건별 수치해석 시뮬레이션 분석 접근 등을 실시해 축사 냄새 저감 표준모델을 수립할 예정이다.
김건호 시 축산정책과장은 “이번 연구용역은 전국에서 최초로 지방자치단체가 축사시설 냄새저감 모델을 구축하고 설계방안을 제공하는 좋은 본보기”라며, “축사환경 전문가를 대거 참여시켜 최선을 다해 냄새 저감 대책을 마련해 시민과 축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축산냄새 개선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은 시 전역에 대한 측정분석 및 개선방안 마련에 대한 대책이었지만 이번처럼 단일사업장에 대한 저감 시설 모델 구축은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수행하는 것으로 성공적으로 정착 시 타 지자체의 좋은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