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그룹은 현재 40% 수준인 미국 생산량을 70% 이상으로 확대해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전략이지만 북미 수출 비중이 80%이상인 한국GM은 사업장 철수까지 고려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7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이날 미국 내 세 번째 공장인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준공하며 100만대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 HMGMA에는 완성차 생산 공장과 차량 핵심 부품 계열사, 배터리셀 합작 공장, 국내 중소 부품 협력사 등이 입주해 미국에서 판매할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을 생산한다. 회사 측은 8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해 현재 30만대인 HMGMA 생산능력을 50만대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미국 판매량은 171만대로 국내 생산 물량은 101만대(59.1%)다. 현재 운영 중인 앨라배마 현대차 공장(36만대), 조지아 기아 공장(34만대), HMGMA(50만대) 3곳을 합쳐 미국 생산량이 연 120만대로 늘어나면 미국 판매량 중 70% 이상을 현지에서 생산할 수 있다. 관세 부과에 따른 타격을 상당 부분 상쇄할 수 있다는 얘기다.
관세 방화벽을 구축한 현대차그룹과 달리 한국GM은 직격탄을 맞을 전망이다. 지난해 한국GM 판매량 49만9559대 중 미국 수출분은 83.8%(41만8782대)에 달한다. 신차 출시가 늦어지면서 한국GM 내수 판매량은 2023년 3만8755대에서 지난해 2만4824대로 35.9% 감소했다. 국내에 도입하기로 한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이쿼녹스EV' 출시도 사업성을 이유로 최근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발(發) 자동차 관세는 한국 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미국이 자동차 산업에 25% 관세를 매기면 올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전년 대비 18.59% 감소할 수 있다고 봤다. 씨티는 한국산 자동차, 부품, 의약품, 반도체 등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이 0.203%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결국 우려가 현실로 다가왔다"며 "개별 기업 차원에서 막을 수 없는 문제라 정부 대응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자본력이 있는 현대차그룹은 대미 투자를 통해 대응할 수 있겠지만 미국 수출 물량이 80%를 넘는 한국GM은 막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한국GM 철수설이 현실화하면 공장이 있는 지역 경제와 부품업계는 완전히 초토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