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는 30일 영남권 산불 진화를 위해 지상 병력 600여명과 군용 헬기 49대(주한미군 4대, 의무헬기 1대 포함)를 현장에 투입했다고 전했다.
장병들은 경남 산청, 경북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등 산불 현장에 투입돼 잔불 진화와 정리, 의료지원, 안전통제, 공중 살수 등을 지원 중이다.
군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직후 현재까지 누적 7500여명의 지상 병력과 헬기 420여대가 현장에 투입됐다.
필요시 최대 5000여명의 병력과 헬기 9대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군은 밝혔다.
국방부는 "투입 장병들은 방진마스크와 방풍안경, 안전장갑 등 안전 물자를 착용한 가운데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현장 투입 전 안전성 평가와 선제적 조치 등을 통해 안전한 임무수행이 되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밖에도 이동진료반 9개팀과 안전순찰조 14개팀을 운용해 산불로 인한 2차 피해 방지활동을 하고 있고, 이불과 전투식량 등 2만3000여점과 헬기용 유류도 지원 중이다.
한편, 군은 가족 중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장병 149명에게 재해휴가를 주고, 산불 피해지역 내에서는 동원훈련과 예비군훈련을 면제하기로 했다.
또한 군은 산불 유발 위험이 있는 예광탄 등에 대한 사격 금지, 사격훈련 간 산불 진화대 편성, 긴급 살수 군 헬기 대기 등 예방조치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장병들은 경남 산청, 경북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등 산불 현장에 투입돼 잔불 진화와 정리, 의료지원, 안전통제, 공중 살수 등을 지원 중이다.
군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직후 현재까지 누적 7500여명의 지상 병력과 헬기 420여대가 현장에 투입됐다.
필요시 최대 5000여명의 병력과 헬기 9대를 추가로 투입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군은 밝혔다.
이 밖에도 이동진료반 9개팀과 안전순찰조 14개팀을 운용해 산불로 인한 2차 피해 방지활동을 하고 있고, 이불과 전투식량 등 2만3000여점과 헬기용 유류도 지원 중이다.
한편, 군은 가족 중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장병 149명에게 재해휴가를 주고, 산불 피해지역 내에서는 동원훈련과 예비군훈련을 면제하기로 했다.
또한 군은 산불 유발 위험이 있는 예광탄 등에 대한 사격 금지, 사격훈련 간 산불 진화대 편성, 긴급 살수 군 헬기 대기 등 예방조치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