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 통계에 따르면 현재 접수된 덤핑 피해 조사 건수 12건 중 동남아시아·대만과 관련된 제소는 5건으로 전해졌다. 올해 들어서 전체 제소는 3건이 추가됐는데 이 중 1건이 동남아산 제품과 관련돼 제소됐다. 기존에는 중국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최근에는 동남아 관련 피해 건수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동남아·대만과 관련된 피해가 대부분 국내 중소기업과 관련이 깊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태국산 파티클보드(PB)다. 가구 재료로 쓰이는 PB 대체로 동남아시아, 중국산 나무로 만든다. 원가 경쟁력을 갖춘 태국산 PB는 국내 PB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려 산업의 존립 기반까지 위태롭게 하고 있다. 물론 저사양·저품질인 중국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에 들어오고 있다. 실제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태국산 PB의 평균 단가는 137달러로 저사양·저품질인 중국(153달러)보다 12% 낮은 것으로 전해졌다.
PB 외에도 금속가공제품, 화학 제품을 중심으로 덤핑 공세가 거세다. 무역위는 올초 인도네시아·대만산 스테인리스강 평판압연 제품(1차 재심사)과 인도네시아·태국산 폴리프로필렌 연신(OPP)필름(2차 재심사)에 대해 덤핑방지조치 종료 시 국내 산업의 피해가 재발할 것으로 보고 덤핑방지관세 부과조치를 각각 연장키로 했다.
또 베트남산 스테인리스강 냉간압연 제품에 3.66~11.37%를, 중국·대만산 석유수지에도 4.45~18.52%의 잠정 덤핑 방지관세를 각각 부과하고 있다. 해당건의 덤핑방지 관세 최종판정은 올 상반기에 각각 내려질 예정이다.
국내 산업 피해가 큰 만큼 보호무역 장벽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너도나도 관세 장벽을 세우면서 중국산, 동남아산 저가 물량 공세가 더욱 심화할 수밖에 없다"며 "우리도 더욱 강화된 '보호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파티클보드 [자료=동화기업]](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3/30/20250330130349957627.png)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