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감혜림 기자) 후보 9명에 여론조사 1위 후보 지지율 10% 미만. 공통 선거공약은 '공교육 강화'.
부산 교육감 선거가 후보 난립과 천편일률적인 공약 등으로 인해 좀처럼 시민들의 관심을 사지 못하고 있다.
정당 공천을 받지 않는 교육감 선거는 기호가 별도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후보자들은 '투표용지 순위 홍보', '이름 마케팅' 등 존재감 나타내기에만 주력하고 있다.
특히 추첨에 따라 결정된 투표용지 상의 순위가 당락을 좌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른바 '복권 선거'인 셈이다.
이같은 선거 구도가 형성된 것은 박영관 후보를 제외한 나머지 8명이 범보수 성향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이들은 '공교육 강화', '공정한 인사시스템 도입', '사교육비 경감' 등 대동소이한 공약을 내세웠다.
진보 성향의 박 후보만이 친환경 무상급식, 유치원 비용 완전지급, 초등 학습준비물 부상지원 등 완전의무 교육 등을 내세우며 공약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그는 유일한 범시민 단일후보임을 강조하며 선거 유세에 나서고 있다.
당초 바른교육국민연합 등 시민 사회에서는 보수진영 단일화 등을 통해 4자구도로 만들 것을 요구했으나 각 후보자들의 주장이 팽팽이 맞서 결국 9명 후보가 모두 등록을 마쳤다.
또 다른 이유는 이번 교육감 선거가 광역단체장·시의원 등을 함께 뽑는 지방선거와 동시에 치러지는 탓에 시민들의 눈길을 끌지 못했다는 점이다.
대형마트에서 만난 박선애(53.여 남천동)씨는 "교육감 후보가 9명이나 되냐"고 오히려 되물으며 "공약은 커녕 후보들의 면면도 전혀 모른다"고 밝혔다.
시민들의 관심을 거의 받지 못하자 언론을 통한 여론조사도 신뢰성을 잃었다.
지난 11일 국제신문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김진성 후보가 6.2%로 1위를 차지했지만, 불과 닷새 뒤인 16일에 방송 3사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7위(3.6%)로 나타났다.
앞선 여론조사에서 5.9%로 5위를 차지한 임정덕 후보는 5일 뒤의 여론조사에서는 8.3%로 1위로 올랐으며, 7위(3%)였던 박영관 후보도 3위(5.9%)로 나타나기도 했다.
두 군데 여론조사의 순위가 일관성이 없을 뿐더러 지지율 자체도 10%미만이라 큰 의미가 없는 상황이다.
교육감은 관할 시·도의 지역 교육청과 일선 학교의 예산편성권, 인사권 등 막강한 권한이 주어지는 자리다. '교육 대통령'이란 말이 나온 이유다.
차별성 없는 후보를 선택해야 하는 유권자들은 아예 교육감 선거에 대한 흥미 자체를 잃어버리고, 이는 다시 차별성 없는 후보가 설 자리를 마련하는 악순환을 연출하는 모습이다.
kam85@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