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헌규 기자) 중국당국이 하반기 경기운영에 있어 긴축 기조를 강화하고 나선 것은 인플레 우려가 그만큼 고조되고 있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다.
당국이 향후 통화운영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릴지 모르지만 최근 금리인상을 비롯한 경기 대응 기조를 보면 중국의 통화정책이 금융위기 시절 완화에서 긴축으로 넘어가는 신호를 띠고 있는 것만큼은 분명하다.
최근 중국경기 진단에 대해 차오위안정(曹遠征) 중국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임금 등 생산요소 비용 상승으로 식품가격이 물가를 올리는 주요인으로 등장했다”며 “이로 인해 중국 경제는 중장기적으로 계속 물가압박에 시달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쟈오통(交通)은행 금융연구센터 탕젠웨이(唐建偉)연구원은 10월 CPI 상승률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수도 있다며 이렇게 되면 적절한 통화운영이 한층 힘들어질수 있다고 진단했다.
치솟는 물가를 방치하면 애써 이룬 성장의 과실조차 빛이 바래고 그렇다고 당장 금리인상이라는 카드를 빼들자니 교각살우의 화를 부를지 모르기 때문이다.
중국 훙위안(宏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통화정책이 금리인상 주기에 들어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금리 인상폭이나 횟수는 향후 경제 움직임에 달려있다며 특히 10월,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의해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다수 전문가들은 중앙은행인 런민(人民)은행이 심사숙고 끝에 최근 전격 금리인상을 단행한 만큼 연내에 재차 금리에 손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반론을 펴고 있다.
이와관련, 국가정보센터 주바오량(祝寶良)연구원은 과잉 유동성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커 올해 CPI 목표치(3%) 달성이 쉽지 않다며 하지만 당국은 추가 금리인상보다 지준율 인상으로 통화조절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넘쳐나는 외환보유고 역시 지준율 인상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원인중 하나라고 진단했다.
중국증권보는 12차 5개년계획기간(2011~2015년) 성장률을 목표치인 7%대로 낮추려면 중국당국이 향후 M2(광의통화량) 증가속도를 13~15%대로 유지하는 선에서 유동성 억제에 나서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따라서 향후 런민은행은 공개시장 조작을 통한 자금 회수나 지준율 인상 등으로 긴축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고있다. 또한 일부 은행 대상으로 차별적 지준율 인상을 적용해 신용 대출을 조정하는 방안도 시행될 전망이다.
긴축을 기조로 한 중국당국의 최근 경기대응을 보면 더블딥 우려가 완전히 불식됐다고 내부 판단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경제의 향후 문제는 스태그플레이션의 우려를 떨쳐 내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중국은 지금 경제회복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세계와 거꾸로 금리인상을 통한 긴축정책에 고삐를 죄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긴축기조는 중국 경제 성장둔화- 세계 경제 동반 침체의 악순환을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chk@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