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0/12/21/20101221000158_0.jpg)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휘발유 가격이 2달 새 100원이나 올랐지만 중고차 시장의 중·대형차 인기는 사그라지지 않는다.
서울과 경기도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2100원을 돌파했지만 그랜저TG는 여전히 중고차 검색순위 1위, K7은 11월 검색량이 전월대비 15% 상승했다고 중고차 사이트 카즈는 21일 밝혔다.
단종된 대형세단 ‘다이너스티’의 검색량 또한 상승했다.
이는 휘발유 가격이 오르면 경차를 선호하게 된다는 상식이 깨진 사례다. 2008년 휘발유 가격이 2000원대를 넘어섰을 때 경차의 판매량이 전년대비 91.2% 증가했다. 당시중고차 시장에서도 경차 ‘뉴모닝’의 시세가 10% 가량 상승했지만 중·대형차는 수요가 줄어 3월과 7월 사이 NF쏘나타는 50만원, 그랜저TG는 100만원이 하락한 바 있다.
이에 반하여, 휘발유 가격이 올라도 중·대형차의 인기 비결은 뭘까.
우선 신차출시 효과를 이유로 들 수 있다. 올해 K5, 아반떼MD, 알페온 등 신차출시는 가격상승을 동반했다. 신차 가격의부담으로 중고차로 눈을 돌린 운전자들이 비슷한 예산으로 한 단계상위차종을 선택한 것이다.
예컨대 YF쏘나타 Prime의 가격이 2345만원인데, 그 가격으로 중고시장에서 2010년식 그랜져TG Q270럭셔리 모델을 구입할 수 있다.
금융시스템 역시 한 몫했다. 지난해부터 중고차 시장에 캐피탈 및 카드사를 통해 최소 3개월에서 최대 48개월까지 할부거래가 가능해지면서 큰 비용부담 없이 중고차 구입이 가능해졌다. 보험료, 세금도 분납할 수 있어 소비자가 차종 선택의 여유가 생겼다고 업계는 분석했다.
아울러 큰 차의 특유의 승차감에 대한 선호도가 커졌다. 차체가 큰 만큼 레그룸 등 실내공간이 크고 주행의 안정감 역시 뛰어나기 때문이다.
카즈 관계자는 “최근 중고차시장의 준대형그브이 조회량이 상승하는 또 다른 이유로 자동차를 바꿀 때 이전보다 큰 차종으로 고르려는 성향 때문”이라며 “중형차의 수요가 가장 많은 국내 자동차 구입 패턴에서 준대형차를 타고 싶은 욕구가 작용했고 한번 큰 차종에 익숙해지면 하향선택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