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박 장관은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국제파생상품 컨퍼런스’에 참석해 “경제가 위기에 빠졌을 때, 신속하게 유동성을 공급해 위기를 예방하거나 극복할 수 있는 체제를 글로벌 및 지역 수준에서 마련해 놓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박 장관은 “이러한 공식적 규제가 시스템적으로는 금융기관의 책임 강화를 통해 보완돼야 한다”며 “특히 헤지펀드가 최첨단 금융기법을 갖춘 대규모 전문 투자자라는 점에서 시장 영향력을 감안해 (금융기관들은) 공격적 투자가 가져올 파급효과에 대해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헤지펀드가 국가 금융시장 혼란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아시아와 같은 신흥국의 금융위기의 트라우마로 국제통화기금(IMF)와 함께 헤지펀드를 꼽았다.
박 장관은 “헤지펀드는 투자자들에게 낮은 위험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금융시장내 투자상품의 다양성을 높였고, 전세계를 대상으로 투자한다는 점에서 선진국과 신흥국간 자본 불균형 해소에 기여했다”면서도 “하지만 위험을 극단적으로 꺼리는 투자 행태와 차입을 통해 레버리지를 높이는 자금조달 형태는 국가 금융시장에 혼란을 초래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헤지펀드 규제를 위한 국가간 정책공조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선진국 금융위기의 전개과정에서 리더십의 부재를 절실히 느끼고 있는 상황”이라며“자본흐름에 따른 금융위기는 글로벌한 현상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 역시 글로벌 수준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