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2만5958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겨울철인 2월보다는 35.2% 증가했지만 같은 시기인 지난해 3월 3만9321건보다는 무려 34% 감소한 수준이다.
이중 서울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3월 1만2370건에서 지난달 7646건으로 38.2% 급락했다.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6만7541건)도 전년 동월보다 29.8% 줄었다. 부동산 활황이라는 지방도 같은 기간 5만6943건에서 4만1583건으로 27.0%의 감소폭을 기록했다.
주택 거래량이 지난해보다 줄어든 것은 올해에는 지난해와 같은 전세난이 일어나지 않은 것이 하나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임병철 부동산114 팀장은 “지난해 전셋값 고공 행진으로 일부 소형 아파트 위주로 매매거래가 늘어났지만, 올해에는 매매전환수요가 줄었다”며 “취득세 감면 혜택 종료에 따른 매수세 위축이 올 초부터 지속되는 점도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의 감소가 눈에 띄었다. 3월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4만6636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34.8% 감소하며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단독·다가구(8765건)는 12.7%, 다세대·연립(1만2140건)은 17.1% 감소에 그쳤다.
서울 주요 아파트의 실거래가도 하향 추세를 보였다. 국토부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 전용 50㎡의 경우 2월 최고 8억원에 거래됐지만 지난달에는 7억5500만원에 거래되며 4500만원 떨어졌다. 송파구 가락동 시영1단지 전용 40㎡도 같은 기간 5억3000만원에서 5억500만원으로 2500만원 가량 내렸다.
전문가들은 매매거래시장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올 상반기에도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조은상 닥터아파트 리서치팀장은 “본격 이사철로 분류되는 3월 거래량이 아파트를 중심으로 감소했다는 말은 그만큼 현재 시장의 매수세가 위축됐다는 의미”라며 “부동산 거래 활성화 대책 같은 뚜렷한 호재가 나타나지 않는 한 당분간 회복세를 보이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