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 장관은 22일 한경밀레니엄포럼 강연에서 "남북관계의 현실과 역사에서 보면 북한의 얘기가 얼마나 허황된지 잘 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도 자신들의 얘기가 먹혀들어갈 수 없다는 것을 잘 알 것"이라면서 "선전전, 레토릭(수사)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런데 일부 언론에서 (북한의 주장이) 일리가 있는 것처럼 얘기하면 남북관계가 어떻게 되어 가겠느냐"면서 "모든 것에는 단계가 있다. 단번에 도약해서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주저하지 않고 그런 길을 따라가겠지만 단언컨데 남북관계에서 그런 길은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특히 "1년 새 획기적인 이벤트나 조치를 취해서, 예컨대 한국이 획기적인 양보를 해서 남북관계 좋아질 수 있다는 것은 신화"라면서 "그런 신화에서 빨리 벗어나는 것이야말로 현실적이고 현명한 남북관계에 대한 방도를 찾아나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류 장관은 이어 이산가족 상봉을 예로 들면서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을 얘기해놓고 안 지켰다. 그것을 안 하면 어떻게 다른 약속을 할 수 있겠느냐"면서 "당장 우선 약속한 것, 합의를 지키자는 것이다. 그것이 지켜지면 또 다른 약속이 생길 수 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또 "과거 남북관계는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이 연결된 것처럼 봐서 이산가족 상봉을 하면 자연스레 쌀이나 비료를 주는 것이 관례처럼 인식됐던 적이 있다"면서 "과거와 같은 그런 패턴의 접촉 양태나 행태가 또 벌어진다면 남북관계는 발전이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남북관계의 많은 사안이 두부 자르듯 잘라지겠느냐. 남북관계라는 건 그런 많은 사안이 (뒤섞여) 이뤄진다"면서 "지금 단계에선 일단 (남북관계가) 굴러가자는 거고 그러려면 약속, 합의를 지키는 것에서 시작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