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정부는 정홍원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역동적 벤처·창업 생태계 구축 방안'을 논의, 확정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 5월 수립된 '벤처창업 자금생태계 선순환 방안' 등 다수의 정책성과를 점검, 보완한 종합대책의 성격을 띤다.
이를 위해 벤처·창업 활성화 예산을 올해 대비 31.5% 증가한 3853억원으로 설정했다. 이를 통해 2017년까지 청년드림 CEO 1만명 양성하고, 현재 21개인 창업선도대학도 28개로 늘릴 방침이다.
특히 정부는 지난해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고급기술인력 창업촉진을 위해 창조제품 판로 지원(창업단계) △엔젤 및 글로벌 벤처펀드 조성 확대(투자단계) △M&A 등 중간회수시장 활성화(회수단계) △실패경험이 자산이 될 수 있는 재도전 환경 조성(재도전단계) 마련에 힘쓸 계획이다.
정 총리는 "벤처․창업 정책은 자금, 세제, 인력 기술 등이 망라돼야 한다"며 "새로운 사업도전과 기술혁신을 활성화하고, 벤처기업 수요에 맞는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부처간 협력을 통해 성과를 창출하라"고 관계부처에 지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