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준 유엔주재 한국대표부 대사는 지난 15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헌장의 원칙과 목표에 대한 존중'이라는 주제의 공개 토의에서 "유엔 가입 때의 의무를 위반한 북한이 과연 유엔 회원국이 될 자격이 있는지를 문제 삼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사진=UN 홈페이지]
1991년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한 이후 한국이 북한의 유엔 회원국 자격에 이의를 제기한 것은 처음이다.
오 대사와 한 차석대사는 각각의 공개토의에서 "북한은 유엔 헌장 4장에 따라 1991년 7월 회원국 가입신청을 함으로써 헌장에 담겨 있는 의무를 받아들이고 이행할 것을 선언했다"며 "그러나 지난 10년간 네 차례의 핵실험과 6개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실험을 일삼으며 스스로 한 약속을 어겼다"고 비판했다.
이어 "북한의 지속적인 제멋대로식 행동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에 대한 위협이자 국제사회에 대한 노골적 도전"이라며 "북한이 과연 유엔 회원국으로서의 자격이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성토했다.
이런 가운데 유엔주재 북한대표부의 조정철 1등서기관은 한 차석 대사가 참석한 유엔 헌장 특별위원회 회의에서 지난달 6일 4차 핵실험과 지난 7일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자주권 방어를 위한 조치"라고 강변했다.
조 서기관은 "유엔 안보리가 자주권 방어와 경제개발 증진을 위해 실행하는 평화로운 목적의 위성발사를 금지할 권한이 없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