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는 10일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보건소의 감염병 관리 기능 강화를 위한 '지자체 감염병 대응 조직 개편 방안'을 마련해 지자체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그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지카바이러스 등 신종 감염병 증가에도 지자체의 체계적인 대응 역량이 부족하고, 전문성은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번 조직 개편(안)은 지역 단위에서 감염병 조기발견, 초동대처, 후속관리 등 일련의 과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게 골자다. 시도별 컨트롤타워 기능 강화 차원에서 전담인력을 두고 질병관리본부, 시도 감염병관리본부 등과의 민‧관 네트워크도 유기적으로 잇는다.
앞으로 감염병을 전담하는 독립된 부서를 별도로 갖춰 전문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부 등에서 식‧약품, 농산물 검사 등을 병행했다. 연구원별로 전문 검사인력을 2∼5명씩 늘릴 예정이다.
현장 최일선에서 감염병 확산을 막는 보건소에 최소 3명 이상의 전담 팀 또는 계를 마련한다. 전국 254개 보건소에 총 283명을 증원시킬 전망이다.
아울러 전문 직무훈련 등 현업 교육을 확대하는 한편 감염병 관리담당 공무원에 대한 인사상 가점 및 수당지급 등 인센티브도 높일 방침이다.
심덕섭 행자부 지방행정실장은 "복지부-시도-보건환경연구원-보건소로 연계돼 지역 단위 현장까지 아우르는 국가적 감염병 대응 체계가 정립될 것"이라며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력으로 전문적 교육‧훈련, 우수인력 확보 등 지자체 역량을 키우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