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은 21일 발간한 '2017년 북한 및 안보정세 전망 보고서'에서 "북한은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는 2017년 제6차 핵실험과 탄도 미사일 발사시험을 통해 핵무기 실전배치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상반기 북한의 6차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 등 도발에 따른 '대결의 증폭'으로 남북관계는 '시계 제로' 상태에 놓이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북한의 제 6차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시점에 언급, 김정은 생일(1월8일)과 트럼프 행정부 출범일(1월20일), 김정일 출생 75주년(2월16일), 김일성 출생 105주년(4월15일)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어 "북한 도발시 트럼프 행정부는 대 중국 압력 강화 및 '선제타격론' 제기 등 대북 압박외교를 전개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북간 '강대강' 대립구도를 형성, 한반도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고 '제3차 북핵 위기'가 조성될 가능성 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밖에 보고서는 "하반기 김정은 정권은 '미북대화' 추진 환경 조성을 위해 남북대화 제안 등 '위장평화공세'를 전개하는 한편, 미북대화가 여의치 않을 경우 충격요법식 대남도발을 병행하는 '화전양면전술'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적었다 .
아울러 북한은 핵보유를 전제로 체제 보장과 대북지원을 얻기 위한 '대미 평화협정 공세'를 강화하는 한편, 중국과의 관계 회복 및 대러 관계 활성화에도 공을 들일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또 북한은 대통령 선거 등 한국 국내 정치 일정을 계기로 삼아 국가 기간망과 공공시설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테러 시도 등 다양한 형태의 테러를 다방면에서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특히 강도 높은 국제사회의 제재에 따른 경제난 극복을 위해 경제적 이익 확보나 자금 절취를 목적으로 국내외 금융 전산망 침투 등 대남 사이버 공격을 대폭 강화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또한 보고서는 북한이 내년 김정은 우상화 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는 가운데, 3대 세습의 세대교체 완성을 통한 김정은 정권 기반 공고화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 일환으로 김정일 생일 75돌을 비롯한 각종 정주년(整週年) 정치 기념일들을 맞아 '우상화' 선전활동에 주력하는 한편, 김정은 체제를 위협하는 한류 등 외부사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단속을 강화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북한은 경제면에서 제7차 당대회에서 제시한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에 기초한 기간산업 정상화에 역점을 두면서, 에너지 문제 해결에 집중할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이와 함께 북한은 대북 제재의 무용론을 과시하기 위해 석탄 수출과 피복을 비롯한 각종 임가공 수출에 주력하는 한편 관광상품 다양화와 인력송출 증가를 통한 외화벌이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