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추진 중인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이행과제를 산업, 생활, 수송 등 부문별로 더욱 강화하는 대응 정책을 내놨다[사진=부산시청제공]
기상청에 따르면 3월은 이동성 고기압에 따른 북서풍 등의 기상요인으로, 국외영향과 대기 정체가 빈번해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달이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추진 중인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이행과제를 산업, 생활, 수송 등 부문별로 더욱 강화하는 대응 정책을 내놨다.
17일 시에 따르면 선제적 대응책으로 산업부문에서는 다량배출사업장, 공단지역 사업장 등의 불법 배출 행위에 대해 낙동강유역환경청과 합동으로 특별점검을 펼치고 민간감시단의 순찰도 강화한다. 또 소규모사업장에 방지시설 개선 지원 및 저녹스버너 보급, 굴뚝 자동측정기 설치·운영비도 지원한다.
생활 부문은 도로 청소를 위해 기존 일 1~2회 운행하던 분진흡입차 등 104대의 청소차를 집중 관리도로 노선에는 일 2~3회로 확대 운행하고, 영농폐기물 수거 횟수를 확대해 집중 수거를 통한 불법소각 방지 및 홍보, 단속을 강화한다.
수송 부문은 버스 차고지, 교차로 등 차량 밀집 지역에서 노상 기기단속, 비디오카메라 측정 등 운행차 배출가스 특별점검을 3월 31일까지 실시한다.
부산시 시기후대기과 미세먼지대응팀은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제한 안내를 전방위적으로 홍보하고, 과태료 부과 차량과 생계형·영업용·총중량 3.5t 이상 차량의 저공해조치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병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3월 들어 기상여건 등에 따라 수도권과 충청권은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이 빈번한 상황”이라며, “부산시도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에 대비한 선제적 저감 대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해, ‘맑고 깨끗한, 살기 좋은 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