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17일 한국개발연구원(KDI) 남창우 연구위원과 조덕상 전망총괄의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가계소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소득 상위 40~60%에 해당하는 3분위 가구의 소비지출이 6.8% 감소했다. 이는 전체 가구의 지출 감소율인 2.8%의 배를 넘는 수준이다.
소득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소비 지출은 4.2% 감소했으며, 소득하위 20~40%인 2분위 가구는 3.3% 줄었다. 소득 상위 20%까지인 부유층의 소비는 0.8% 줄어드는 데 그쳤다. 반면, 소득 하위 20%인 빈곤층의 소비는 2.8%로 유일하게 증가했다.
가계의 지출 규모만 놓고 보면 부유층은 코로나 경기 악화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가운데 소득 중앙인 3분위와 중산층으로 분류할 수 있는 4분위가 지난해 소비 감소를 주도했다.
실제 소득 하위 20%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을 합산한 시장소득이 지난해 6.1% 줄었으나, 정부의 재난 지원금 등이 반영된 공적 이전과 세금 등 비소비지출까지 고려한 가처분 소득은 7.5% 증가했다. 2분위 역시 시장소득이 1.9% 줄었지만 가처분소득이 4.6% 늘었다.
이에 반해 3분위는 시장 소득이 2.7% 줄어든 가운데 가처분소득은 2.0% 늘어나는 데 그쳤다. 4분위 역시 시장소득이 1.2% 줄어든 상황에서 가처분 소득은 2.2% 느는 데 그쳤다.
3분위와 4분위 모두 전체 가구 평균 가처분소득 증가율인 3.3%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3분위는 가처분 소득 증가율이 소득 5분위 중 가장 낮았다.
남창우 연구위원은 "중간소득 계층인 3분위와 4분위가 코로나19에 따른 실질적인 충격과 불확실성에 가장 크게 노출됐다"며 "중산층들은 이런 상황에서 소비지출을 큰 폭으로 줄이고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 저축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