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과 신흥시장국간 금리 인상의 시기와 속도가 달라 앞으로 새로운 국제 금융위기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 이창선 금융연구실장은 18일 `국가간 금리정책의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 보고서에서 "최근 국가간 서로 다른 경기 상황을 배경으로 금리정책이 차별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금리정책의 차별화란 경기 회복세가 강한 국가는 정책금리를 올리지만 회복세가 약한 국가는 정책금리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스라엘, 호주, 노르웨이가 정책금리를 올린데 이어 올해는 말레이시아, 인도, 브라질, 페루, 캐나다, 대만과 우리나라가 정책금리를 올렸다. 중국의 두 차례 지급준비율 인상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와 달리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디플레이션(물가 하락과 경기 침체)을 걱정할 만큼 회복이 더딘데다 일부 국가는 재정 건전화를 진행하고 있어 저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 실장은 "각국의 금리정책 차별화는 글로벌 투자 자금을 움직이는 요인"이라며 금리가 낮은 선진국에서 자금을 빌려 금리가 높은 신흥국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를 예로 들었다.
그는 "하지만 고금리 국가로 대거 유입된 자본은 몇 년 뒤 선진국의 금리가 높아지면 급격히 유출돼 충격을 일으킬 수 있다"며 "금리 상승으로 유럽이나 일본처럼 부채가 많은 국가는 국채 상환 부담이 커질 우려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가계, 기업, 정부가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지나친 자본 유입을 막고 외환보유액을 확충해 외국 투자자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며 "적절한 자본 통제와 국제 금융안전망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