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한국은행이 금융회사 업무보고서 등을 토대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전체 가계대출은 2008년말 약 7조원에서 2009년말 7조5000억원, 2010년말 8조5000억원으로, 3년간 약 21%가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은 약 5조1000억원, 5조8000억원, 7조1000억원으로 39%나 올라 전체 가계대출 증가율을 훨씬 웃돌았다.
신용대출이 전체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3.0%, 77.1%, 83.1%로 3년간 10%포인트가 넘게 늘어났다. 여기서 신용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모든 가계대출을 의미한다.
이 같은 추세는 저축은행들이 정부정책에 부응해 서민금융활성화 차원으로 신용대출에 나선 데다 최근 PF 대출에서 대거 부실이 발생하면서 새로운 자금 운용처를 찾아 신용대출을 더욱 늘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신용대출에서 급격한 증가세와 더불어 신용등급이 낮고 저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 향후 부실화 될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다.
한은 조사 결과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중 신용등급이 5∼10등급에 속하는 중·저소득층의 비중은 2008년말 69.8%에서 지난해말에는 72.4%로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리스크관리 시스템이 미흡하기 때문에 대출자의 소득 및 신용위험 수준을 초과해 대출한도 등을 설정하면 채무자의 채무상환 부담이 증가해 저축은행의 신용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업계 내에서도 이를 우려하기는 마찬가지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PF대출이 막힌 상태에서 먹고 살거리가 막막한 게 사실이다"면서도 "하지만 신용대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체계도 제대로 갖추지 않고 신용대출 '흉내만 내는' 저축은행들이 증가해 문제"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