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금융위에 따르면 이날 추 부위원장은 5개 금융협회, 4개 국책금융기관 및 시중·지방은행의 간사은행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금융권의 일자리 창출 추진현황에 대해 점검·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추 부위원장은 “상당수 금융회사에서 채용 2년 후 성실한 업무성과를 보이는 직원의 경우 원칙적으로 무기 계약직으로 전환한다”며 “다른 회사에서도 이 방안을 적극 검토해 달라”고 밝혔다.
이어 “금융회사들이 고졸채용 규모를 당초 계획대로 확대하는 한편 고졸 출신들이 근무조건 등에 있어서도 비합리적으로 부당하게 차별받는 일이 없도록 유의하라”고 덧붙였다.
또 추 부위원장은 고졸채용 수치에 계약기간이 끝난 비정규직 퇴직자의 대체 숫자가 포함된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자칫 고졸 채용 취지가 퇴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 부위원장은 “고졸채용의 기본적인 취지는 고교졸업자에게 신규일자리를 창출해 제공하거나, 기존 대졸취업자의 일자리 중 고졸출신을 대신 채용하자는 것”이라며 “고졸채용의 당초 취지에 맞게 운영해 달라”고 주문했다.
취약계층에 대한 채용확대와 채용계획의 조속한 집행도 강조했다.
추 부위원장은 “금융권에 취약계층의 취업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적극 반영해달라”면서 “경기상황이 어려운만큼 금융권이 솔선수범해 가급적 앞당겨서 청년층 취업 지원에 적극 나서달라”고 말했다.
아울러 정책금융기관들에 대해선 일자리창출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