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제주항공]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제주항공이 올해 매출 목표를 전년 대비 23% 늘어난 5300억원으로 설정했다. 또 창립 이래 최대 규모인 신규 항공기 6~7대를 올해 도입하고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확대한다.
애경그룹 계열의 제주항공은 6일 이 같은 내용의 2014년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제주항공은 2014년을 '선도적 저비용항공사(LCC)로서 비즈니스 모델 정체성 강화를 통한 차별적 경쟁우위 확보'를 전략목표로 설정하고 △원칙과 절차 준수를 통한 안전 강화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 절감 △매출 다변화를 위한 부가수익 창출 △고객 만족도 향상과 브랜드 강화를 통한 시장 지배력 확대 등의 핵심과제 실천을 통해 기존항공사와의 간격을 줄이는 한편 후발주자와 격차를 벌려 나간다는 전략이다.
제주항공은 올해 매출을 지난해 잠정집계된 4300억원보다 1000억원이 늘어난(약 23% 신장) 5300억원을 목표로 했다.
제주항공 측은 "지난해 국내 LCC 중 처음으로 매출 4000억원대를 돌파한 제주항공이 올해는 국내 LCC 가운데 또다시 매출 5000억원대를 첫 돌파하는 새로운 항공사(史)를 쓴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제주항공은 올해 영업이익 역시 전년보다 약 100억원 늘어난(약 66.7% 신장) 250억원을 목표로 잡았다.
제주항공은 또 신규 취항과 기존노선의 증편을 계획 중이다.
제주항공은 2005년 창립 후 가장 많은 규모인 6~7대의 항공기를 올해 도입하고, 초창기 도입한 항공기 3대를 반납해 총 16~17대의 기단을 운영할 예정이다. 도입 기종은 모두 737-800(좌석수 186~189석)이다.
제주항공은 이 같은 공격적 항공기 도입을 통해 국내선과 일본, 홍콩, 동남아시아, 괌, 중국 등의 공급석 확대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획기적으로 높인다는 전략이다.
제주항공은 현재 취항 중인 김포~제주, 부산~제주, 청주~제주 등 3개 도시 외에 지속적으로 지방도시 취항노선을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제주항공은 이를 통해 지난해 11월말 기준 약 16% 수준인 제주기점 국내선 점유율을 20%에 근접한 수준까지 끌어올려 21%를 기록 중인 아시아나항공과는 격차를 좁히고, 후발 LCC들과는 간격을 더욱 벌린다는 목표다.
제주항공은 국제선에서도 괌 노선의 경우 지난해 11월을 기준으로 취항중인 국적사 중 M/S 1위를 기록하는 등 각 노선별로 주도권을 잡기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고 평가하고, 올해 항공자유화가 된 홍콩노선의 점유율을 크게 높여 주력노선으로 삼는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중국노선은 중국시장의 규제 완화를 위한 항공당국간 노력 여하에 따라 국제선 확대전략은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지난해 11월말을 기준으로 제주항공을 비롯한 국내 LCC의 제주기점 국내선 전체 시장점유율은 54%를 기록함으로써 LCC는 이제 국내 항공시장의 완전한 대세로 자리 잡았다"며 "국내 LCC들의 국제선 비중도 약 10%로 상승했고 올해도 신규노선 취항과 증편 등을 통해 근거리 국제선에서 큰 폭의 추가성장을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규남 제주항공 사장은 "올 한 해는 외부의 다양한 위험요인에 대비하면서 국내 항공시장의 선도적 LCC로서의 정체성 확립을 통해 차별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 모든 초점을 맞춰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