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객정보 유출사고에 연루된 신용정보회사 KCB와 KB국민카드, 롯데카드, NH농협카드 등 카드사 3곳에 대해서는 현장검사에 착수했다.
금융감독원은 13일 최종구 수석부원장 주재로 금융사 및 금융협회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 90여명을 소집해 ‘금융사 정보보호 담당 임원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최 수석부원장은 이날 고객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을 당부했다.
그가 제시한 주요 대책은 △내부통제절차 강화 △외주용역직원 관리 강화 △정보기술부문 보안대책 강화 등이다.
최 수석부원장은 “최근 일부 신용카드사에서 외주업체 직원이 고객의 개인 및 금융정보를 대량으로 불법 수집해 유출시킨 사고가 발생했다”며 “정보유출사고는 개인의 사생활 침해뿐 아니라 보이스피싱과 같은 2차 사고로 이어져 금전적 피해까지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보보호책임자들은 고객정보에 대한 관리 실태를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유사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어떤 일을 해야 할지 세심히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금감원은 최근 발생한 고객정보 유출사고와 관련해 이날부터 KCB와 국민카드, 롯데카드, 농협카드에 대한 현장검사에 돌입했다.
금감원은 내달까지 유출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금융사의 고객정보 유출 방지 대책과 고객정보 관리 적정성 실태도 점검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고객정보 보호 강화 방안을 마련해 즉시 시행 가능한 사항은 이행토록 하고, 법규 반영 사항은 금융위원회 태스크포스에서 논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이달 중 고객정보의 부당 유출 및 불법 유통 사례 신고를 접수하는 ‘정보유출 감시센터’를 금감원 내에 설치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