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타임스(FT)는 20일(현지시간) 지난해 비유럽 국가들이 발행한 유로 표시 회사채가 1320억 달러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2011년보다 세배에 달했다. 올해부터 유로와 파운드 표시 채권 시장도 부산스럽다.
브라질의 페트로브라스, 호주의 ANZ, 인도의 바르티에어텔 등도 유로 표시 채권 발행을 주도하고 있다. 올해 들어 유럽 기업들이 발행한 유로 채권 발행량은 180억달러에 달한다. 이는 지난 2008년 이후 최대치다.
해외에서 양키채권(달러 표시 채권) 발행 규모은 5290억 달러를 기록했다. 자금 조달 비용이 저렴하거나 다채로운 투자자들을 만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에서 금리가 상승하고 외국 환율이 올라 비용 차이가 난다. 때문에 미국이나 다른 국가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보단 유럽 채권시장으로 발길을 돌리는 것이다.
게다가 유럽 시장은 미국 아시아를 기반으로 고수익률을 찾는 다양한 투자층을 가지고 있다. JP모건의 멜리사 스미스 투자국장은 "투자자의 성향은 강하게 전환되고 있다"며 "유로와파운드 채권시장은 기업에게 더욱 전략적인 역할을 하며 자본 출처도 다양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