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미에현 이세시마에서 27일(현지시간)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마지막날 회의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연설하고 있다. [사진=AP=연합 ]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일본이 결국 소비세 인상을 미룰 것으로 보인다. 아베 신조 총리는 지난 28일 밤 소비세율을 10%로 올리는 인상 시기를 이미 예정된 2017년 4월이 아닌 2019년 10월로 미룰 것을 정부와 여당 간부에게 전달했다고 니혼게이자이 신문 등 현지언론이 29일 보도했다.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경기를 살려야 한다는 명분이지만, 소비세율 인상을 다시 미룰 경우 재정악화를 불러올 수도 있는 만큼 정부와 여당에서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28일 밤 총리 관저에서 아소 다로 부총리 경 재무상, 스가 요시히데 관방 장관, 자민당의 다니가 키 사다 카즈 간사장 등과 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아베 총리는 증세를 2019년 가을로 미루자는 입장을 전달했으나, 여기에서도 예정대로 증세를 하자는 목소리도 높았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
아베 총리는 주중에 공명당 대표들과 회담을 마치고 증세안에 대한 의견을 조정한 후 증세 연기안에 대한 정식입장을 표명할 예정이다.
소비세 증세를 2 년 반 연기하면 2020년도에 기초재정 수지의 흑자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고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보도했다.
아베 총리의 경제정책인 '아베 노믹스'는 올해 초부터 엔고와 주가하락 기조로 돌아서서 국내 총생산 (GDP)의 6 %를 차지하는 소비를 위축시켜왔다. 일각에서는 2014년 4월 소비세율을 5%에서 8%로 인상한 영향이 지금까지 미치고 있는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총리는 디플레이션 탈피를 정권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내걸고 있으며, 예정대로 증세를 할 경우에 경기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지난 27일 폐막한 G7 정상회의에서 세계 경제가 위기에 빠질 위험성에 대해 호소했다. 그는 기자 회견에서 재정 투입의 필요성을 호소 한 다음 "소비세율 인상에 대해서도 검토에 들어갈 것이며, 이번 7월 참의원 선거 전에 분명히 하고 싶다"고 말했다.
총리는 지난 2014 년 11월 경기의 악화 등을 이유로 2015년 10월에 예정되어 있던 소비증세를 2017년 4월까지 1년 반 동안 미뤘다. 2014년에 아베 총리는 "다시 연기 할 수 없다"는 의견을 내고 중의원을 해산했다. 그 후에도 "리먼 쇼크와 같은 심각한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예정대로 인상할 것이다"라고 말해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