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용역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등에 대비해 지역 중심의 물 이용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충남연구원이 지난 6월 7일 용역에 착수했다.
이날 중간보고회에서 충남연구원은 지난 3개월여 간 진행된 △기존 취수원 및 용수공급 시설 현황조사 △지방상수도 폐쇄 및 폐쇄예정 취·정수시설 △자체수원 확보 및 활용방안 등에 대해 보고했다.
조사 결과 도내 지방상수도는 대부분 하천복류수를 취수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도내 11곳의 취수시설에서 1일 10만 1700톤이 처리되고 있어 전국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수원 확보 및 활용방안에서는 하천수와 호소수 등 기존 상수원뿐만 아니라 지하수, 빗물, 사방댐, 식수댐, 해수, 물 재이용 등을 상황에 맞춰 활용할 수 있는 ‘다중수원워터루프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또 도 광역상수도-광역상수도, 광역상수도-지방상수도, 지방상수도-지방상수도 간 연계 방안과 상수도시설 확충을 통한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광역상수도 사업 추진 방안이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끝으로 충남연구원은 향후 연구조사 추진계획으로 △상수원 개발 및 비상용수에 대한 국외사례 조사 △시군별 자체수원(비상용수) 확보방안 마련 등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이번 연구조사를 통해 도내 높은 광역상수도 의존율로 인해 가뭄과 같은 재해나 사고위험에 취약한 구조임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라며 “앞으로는 도내 상수원 다양화에 초점을 맞춰 도민의 물 복지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