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돋보기] 경북, 코로나19 양성판정자 생활치료시설 이대로 괜찮은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경산)김규남 기자
입력 2021-04-06 08: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4인을 한병실에 잡단수용으로 인해 격리수용의 원칙 어겨

  • 재감염공포에 수용기간 내내 걱정앞선다

좁고 밀폐된 공간에 4인이 밀집수용돼 생활하고 있는 '생활치료시설'의 병실모습.[사진= 김규남 기자 ]

경상북도의 코로나 대응 방역체계에 심각한 헛점이 발견돼 도민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K-방역의 실체는 과연 무엇인가?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지금 경상북도에서는 그 실체를 의심케하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코로나19가 창궐한 지 벌써 1년이 훌쩍 넘어서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방역당국의 지시와 안내를 따라 그동안 인내하며 코로나19와의 지루한 싸움을 계속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가 세계에 자랑하는 K-방역에 우리국민도  크나큰 일조를 했다. 그리고 정부가 세계에 자랑하는 K-방역으로 인해 대한민국 국민으로써 자부심으로 그간 버텨왔다.

그런데 정부가 그렇게 자랑하고 우리국민들이 자부심을 갖고 있는 K-방역이 어떤것인지, 우리가 자부심을 가져도 될 우수한 시스템인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비단 경북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 격리가 원칙인 전염병 환자관리의 원칙 무시

사건의 발단은 경북 경산의 3월 중순 일어난 사우나발 코로나19의 발생으로부터 시작된다.

S씨는 확진자 Y씨와 접촉해 양성확진을 받아 경북 안동에 있는 ‘생활치료시설’로 강제이송됐다. S씨에 따르면 그날 어떤준비도 할 새 없이 옷가지와 꼭 필요한 몇몇 물품만 부랴부랴 챙긴채 엠블란스에 실려 생활치료시설에 도착했다,

원래 무증상인 상태로 확진판정을 받은 S씨는 4명이 한방에 수용돼 첫날 하루종일 채혈등 검사에 시달렸다고한다. 그이후는 별다른 의학적 처방과 조치없이 방치상태로 아무런 프로그램 없이 시간을 보냈다.

여기서 의문을 자아내는 부분은 격리가 원칙인 전염병의 대처 방법에도 배치되는 한방에 4명을 집단수용 한다는 것이다.

평소 방역당국은 격리가 원칙이라고 강력히 주장했고 경증 감염자자라도 추가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격리하는 것이 불가피 하다고 말해왔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집단수용함으로써 이 원칙을 위반했다. 또한 이런 식으로 수용하려면 자가격리하면 될 것을 굳이 왜 인권을 침해해 가면서까지 생활치료시설로 데리고 간 것인지 의문이 제기된다.

◆ 기준이 모호한 입·퇴원조치로 인한 재감염 개연성 높여

또한 방역당국은 코로나19가 높은 전염성을 가지고 있다고 대국민 홍보를 하면서 재감염도 경고했다. 그러나 실상은 같은 방 수용자가 완치 판정을 받고 퇴실한 그 병상에 다시 다른 감염자를 입실 수용하고, 열흘이 지난 확진자에게는 다시 코로나19 PCR검사를 따로 하지 않고 “코로나19는 감염된 지 10일이 경과하면 사멸한다”며 퇴실시키는 어이없는 조치를 취해서 환자들조차 어안이 벙벙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한 의료인은 “전염병 방지를 위해 격리수용하는 사람들을 집단으로 수용한다는 것은 격리의 원칙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있을 수 없는 일이다”고 하며 “코로나19가 창궐할 당시 생활치료시설이 없어 병상이 부족할 때도 이렇지는 않았다. 획기적 개선과 점검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생활치료시설에서 퇴소한 S씨는 “처음에 격리를 위해 엠블런스 차량에 탑승할 때 까지만 해도 4명이 한방에 지낸다는 것은 생각도 못했다”며 “14일안 지내는 내내 재감염의 공포에 떨었다. 왜 여기까지 온건지 알 수 없다. 병을 치료하러 왔다가 얻어가겠구나라는 생각까지 들었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시민들은 “이제 코로나19가 소규모 집단감염의 기미를 보이는 가운데 K-방역만 자랑말고 국민들에게 인내와 희생을 요구하는 만큼 방역체계를 새로 점검하고 구축해서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방역체계를 구축하라”고 입을 모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