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이어 저축은행권에도 신용대출 한도를 대출자의 연소득 이내로 축소 운영하라고 주문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20일 저축은행중앙회에 이처럼 당부했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한도는 은행권보다는 낮지만 정액으로 1억~1억5000만원 한도를 제시하는 곳도 있다.
금융당국은 올해 저축은행업권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를 21%(중금리대출 포함)로 제시하고 있으며 주간 단위로 점검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권의 중금리대출을 제외한 자체 신용대출 증가율 목표치는 5.4%다. 금감원 관계자는 "목표치를 초과했거나 근접한 저축은행에는 경영진 면담을 통해 관리할 것이라고 예고했다"고 전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1주일 전 은행권에 대출한도를 차주의 연봉 이내로 축소할 것을 주문했고 은행권이 이를 받아들였다.
농협, 신협,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에서는 농협이 금융당국의 특별관리 대상이다. 지난달 상호금융권을 포함한 제2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 5조6000억원 가운데 농협이 2조300억원에 달한다.
농협중앙회는 20일 금융위를 찾아 전국 농·축협의 집단대출을 일시 중단하고, 이후 각 조합별로 목표치를 설정해 운영하고 60%인 대출자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자체적으로 낮추겠다는 등의 관리계획을 보고했다. 그러나 금융위는 농협중앙회의 계획이 미흡하고 구체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해 보완을 요구했다.
금융위는 보험업, 카드사 등 다른 2금융권에도 총량관리 목표를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협회장을 통해 요청했다. 금융당국은 보험업, 여신전문업계에는 세부적인 지침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역시 주간 단위로 가계대출 총량을 관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