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 판매와 부실 운용 등으로 2500억원대 피해를 일으킨 ‘디스커버리 펀드’ 판매 당시,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준법감시인이 장하성 주중대사의 친척 중 한 명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장하성 대사는 투자하고, 친동생은 판매하고, 친척은 이를 내부감시한 구조였던 셈이다. 이에 따라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장 대사가 투자 당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은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펀드 판매 규모가 급증했던 2018년도에 장 대사의 친척인 장하석씨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준법감시실 내 준법감시인으로 근무했다. 이는 언론 등을 통해 알려진 장 대사 작은아버지(장재식 전 장관)의 차남인 장하석 케임브리지대 석좌교수와는 다른 인물이다.
장 대사의 큰 할아버지인 독립운동가 장병준씨의 아들 장경식 전 장산중학교 이사장의 자녀들(6남 2녀) 중 한 명이다. 고려대를 10년 만에 졸업했던 운동권 출신으로, 지난 2005년부터 자산운용사 등을 경영했다. 장 대사와는 촌수로 6촌(재종형제) 관계다.
앞서 장하석씨는 디스커버리인베스트의 회장직을 지내기도 했다. 지난 2019년 당시에는 첨단복합소재 기업인 엔바이오니아의 대규모 지분 매도 등을 통해 막대한 차익을 벌어들였던 전례도 있다.
이를 계기로 장 대사 형제를 둘러싼 의혹은 더 짙어지고 있다. 당시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대표는 장 대사의 친동생인 장하원씨다. 금융업계에선 애초에 친척을 준법감시인 자리에 앉히는 건 적절치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상 준법감시인은 내부통제기준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조사해 감사위원회에 보고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최근 장 대사가 디스커버리 펀드에 60억원대 투자를 단행했던 게 밝혀지면서 논란은 한층 더 불이 붙고 있다. 일반인은 만기 전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 펀드에 투자한 반면, 장 대사는 중도 입출금 자유로운 개방형 펀드에 투자해 ‘특혜 논란’도 일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장 대사는 “디스커버리 펀드 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일체의 환매를 신청한 사실이 없고, 따라서 환매금을 받은 사실도 없었다"는 입장을 내놨다.
디스커버리 펀드 사태는 2019년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운용하던 펀드가 환매 중단되면서 대규모 투자자의 피해가 발생한 사건이다. 디스커버리가 만든 이 펀드는 미국 다이렉트랜딩글로벌(DLG)이 발행하는 사모사채에 투자한 상품이다. 펀드 운용을 맡은 미국 운용사 DLI는 수익률과 투자가치 등을 허위로 보고한 사실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적발돼 자산이 동결됐다. 피해액은 작년 4월 말 기준 2562억원에 달한다. 해당 펀드는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 한국투자증권, 신한은행에서 수천억원어치가 팔렸다. 판매 당시 장 대사의 이름을 딴 일명 ‘장하성 펀드’로 불리기도 했다.
이 중 대다수 투자가 기업은행을 통해 이뤄졌다. 총환매중단금액(2562억원) 중 기업은행 판매분은 761억원(30%) 규모에 이른다. 이와 관련해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대책위)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장 대사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디스커버리펀드에 투자한 경위와 회수된 금액이 있는지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펀드 판매 규모가 급증했던 2018년도에 장 대사의 친척인 장하석씨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준법감시실 내 준법감시인으로 근무했다. 이는 언론 등을 통해 알려진 장 대사 작은아버지(장재식 전 장관)의 차남인 장하석 케임브리지대 석좌교수와는 다른 인물이다.
장 대사의 큰 할아버지인 독립운동가 장병준씨의 아들 장경식 전 장산중학교 이사장의 자녀들(6남 2녀) 중 한 명이다. 고려대를 10년 만에 졸업했던 운동권 출신으로, 지난 2005년부터 자산운용사 등을 경영했다. 장 대사와는 촌수로 6촌(재종형제) 관계다.
앞서 장하석씨는 디스커버리인베스트의 회장직을 지내기도 했다. 지난 2019년 당시에는 첨단복합소재 기업인 엔바이오니아의 대규모 지분 매도 등을 통해 막대한 차익을 벌어들였던 전례도 있다.
최근 장 대사가 디스커버리 펀드에 60억원대 투자를 단행했던 게 밝혀지면서 논란은 한층 더 불이 붙고 있다. 일반인은 만기 전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 펀드에 투자한 반면, 장 대사는 중도 입출금 자유로운 개방형 펀드에 투자해 ‘특혜 논란’도 일고 있는 상태다. 이에 대해 장 대사는 “디스커버리 펀드 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일체의 환매를 신청한 사실이 없고, 따라서 환매금을 받은 사실도 없었다"는 입장을 내놨다.
디스커버리 펀드 사태는 2019년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운용하던 펀드가 환매 중단되면서 대규모 투자자의 피해가 발생한 사건이다. 디스커버리가 만든 이 펀드는 미국 다이렉트랜딩글로벌(DLG)이 발행하는 사모사채에 투자한 상품이다. 펀드 운용을 맡은 미국 운용사 DLI는 수익률과 투자가치 등을 허위로 보고한 사실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적발돼 자산이 동결됐다. 피해액은 작년 4월 말 기준 2562억원에 달한다. 해당 펀드는 IBK기업은행과 하나은행, 한국투자증권, 신한은행에서 수천억원어치가 팔렸다. 판매 당시 장 대사의 이름을 딴 일명 ‘장하성 펀드’로 불리기도 했다.
이 중 대다수 투자가 기업은행을 통해 이뤄졌다. 총환매중단금액(2562억원) 중 기업은행 판매분은 761억원(30%) 규모에 이른다. 이와 관련해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대책위)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장 대사와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디스커버리펀드에 투자한 경위와 회수된 금액이 있는지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