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도레이, 군산공장 PPS 수지공장 증설 일본 도레이는 6일, 한국 자회사인 도레이첨단소재 군산공장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 ‘토렐리나(TORELINA)’의 생산능력을 연 5000톤으로 증강한다고 밝혔다. 2024년 12월 가동개시를 목표로 한다. 이번 생산증강으로 도레이의 토렐리나 생산능력은 일본 토카이(東海)공장분까지 합치면 업계 최대 규모인 연 3만 2600톤으로 확대된다. 아울러 PPS 수지의 주원료인 황화수소나트륨 공장도 증설해, 주원료부터 수지의 일괄 생산체계를 갖춘, 가격경쟁력 있는 거점으로 입지를 강화할 수 있게 된다. 군산공장에서 2023-02-07 16:00
-
[NNA] 캄보디아 수출액 중 의류 등 3품목 57% 차지 캄보디아의 지난해 수출에서 의류・신발・여행용품이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품목이 수출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전년보다 8%포인트 저하됐으나, 57%에 달했다. 크메르 타임즈(인터넷판)가 3일 전한 바에 따르면, 2022년의 의류・신발・여행용품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한 약 125억 달러(약 1조 6454억 엔). 의류가 13% 증가한 90억 달러 이상, 여행용품이 19% 증가한 17억 7700만 달러, 신발이 25% 증가한 17억 3700만 달러. 수출총액은 224억 8300만 달러. 캄보디아신발협회(CFA)의 리 쿤 2023-02-07 15:22
-
[NNA] 방글라데시 전년도 GDP 성장률 7.10% 방글라데시 통계국은 2021/22년도(2021년 7월~2022년 6월) 실질국내총생산(GDP)이 전년도 대비 7.10% 증가했다고 5일 발표했다. 전년도의 증가율인 6.94%를 0.16%포인트 웃돌았다. 2021/22년도 증가율을 분야별로 보면, 제조업이 11.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보건・사회활동이 9.88%, 상하수도가 9.54%, 건설이 8.71%, 도소매가 8.46%. 광업・채석 분야는 -1.12%로 유일하게 전년도를 밑돌았다. 2023-02-07 14:49
-
[NNA] 印尼 신수도의 인프라 건설 31개 사업 진척률 14% 인도네시아 공공사업국민주택부는 6일, 동칼리만탄주로 이전되는 신수도 ‘누산타라’의 기초 인프라 건설공사 진척률이 14%에 달했다고 밝혔다. 토지조성 및 근로자용 주택, 물류도로, 고속도로, 조정지와 배수로, 취수시설, 조정부 청사, 대통령궁 등 31건의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4~5일 현장시찰을 통해 공사 진척 상황을 확인한 바수키 하디물요노 공공사업주택부 장관은 “공사는 품질, 미학, 환경 지속 2023-02-07 14:09
-
[NNA] 베트남 두리안 출하가격, 中 수요증가로 3배↑ 베트남 띠엔장성 농가의 두리안 출하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상승하고 있다. 중국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반해, 공급량은 수요의 30~50%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VN익스프레스가 6일 전했다. 출하가격은 1kg당 12만 동(약 5.1달러, 675엔)~19만 동으로 크게 상승했으며, 중국에 대한 수출액은 17만~29만 동까지 급등했다. 인접한 껀터시의 도매업자는 농가들이 높은 가격으로만 팔려고 하기 때문에, 국내 수요를 위한 물량확보가 매우 어렵다고 호소하고 있다. 한편, 중국과 거래하고 있는 띠엔장성의 도매업자들은 2023-02-07 13:28
-
[NNA] 올해 홍콩 경제, 회복 가속… 재정장관 전망 폴 찬(陳茂波) 홍콩 재정장관은 올해 홍콩 경제 전망에 대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부터 회복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인식을 5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찬 장관은 6일부터 중국 본토와의 왕래규제가 폐지되는 것과 관련해, 홍콩의 수출 및 물류, 여행, 소매, 외식업계 등의 회복에 큰 도움이 되며, 홍콩 경제에 대한 전망이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홍콩 경제는 회복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단계이며, 외부환경에 시련과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현 상황 하에서는 관광, 투자, 가계 등의 본격적인 회 2023-02-07 11:44
-
[NNA] 사회과학원, 2023년 中 경제성장률 약 5% 전망 중국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2023년 경제성장률을 전년 대비 약 5.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12월의 예측치인 ‘약 5.1%’를 다소 하향 수정했으나, 2022년의 3.0%보다는 상승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 사태가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확연하게 줄어들며, 포스트 코로나를 맞아 전면 회복을 향한 과도기가 될 것이라는 시각이다. 각 분기별의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1분기 3.4%, 2분기 7.2%, 3분기 4.2%, 4분기 5.2%가 될 전망. 올해는 소비가 서서히 회복되는 가 2023-02-07 10:46
-
[NNA] 태국, EV 배터리 생산에 감세, 보조금 지원 태국의 국가전기자동차(EV)정책위원회는 EV용 배터리 생산지원방안을 2일 승인했다. 감세와 보조금으로 배터리 제조사를 지원, EV 가격을 더욱 낮춰 EV 보급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EV 배터리의 물품세는 현재의 8%에서 1%로 낮춘다. 또한 태국에서 배터리의 최소단위인 셀을 생산하는 제조사에 대한 보조금 총액을 240억 바트(약 934억 엔)로 설정했다. 보조금은 생산능력 8GW/h 미만의 경우 1kW/h당 400~600바트, 8GW/h 이상의 경우 1kW/h당 600~800바트를 지급한다. 상한이 설정된 관계로 보조금은 선착순으로 지급된다. 3 2023-02-06 18:16
-
[NNA] 싱가포르 12월 소매업 매출액, 2개월 연속 한 자릿 수 성장 싱가포르 통계국은 2022년 12월 소매업 매출지수(속보치, 명목)가 전년 동월 대비 7.4% 상승했다고 3일 발표했다. 증가율은 7개월 만에 전월을 웃돌았으나, 2개월 연속 한 자릿 수 성장에 그쳤다. 12월의 소매업 매출지수(2017년=100)는 120.3을 기록, 전월 대비(계절조정치) 1.3% 상승했다. 11월은 3.6% 하락했으나 플러스로 전환됐다. 정책의 영향을 받기 쉬운 자동차를 제외한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9.5% 상승해 11월의 9.0% 상승을 웃돌았다. 전월 대비로 11월은 마이너스였으나, 1.0% 상승으로 개선됐다. 항목별로는 전 2023-02-06 17:18
-
[NNA] 정부, '전세사기' 방지 방안 발표 거액의 보증금을 맡기는 임대방식인 ‘전세’ 보증금 반환사기 사건과 관련해 정부는 2일, ‘전세사기 예방 및 피해지원방안’을 발표했다. 그동안 부동산 가격 급등에 따라 집값에 대한 전세보증금 비율을 나타낸 ‘전세가율’이 높은 물건의 계약이 증가했으나,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로 계약이 만기된 이후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하는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집값과 전세보증금의 차액(갭)만으로 부동산에 투자하는 ‘갭 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주 2023-02-06 16:35
-
[NNA] 필리핀 대통령궁, 이사벨라주 태양광발전 계획에 "환영"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은 루손섬 이사벨라주 일라간시에 추진되고 있는 태양광발전소 건설계획에 대해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고 대통령궁이 4일 밝혔다. 발전소는 2024년 착공, 2025년 가동을 예정하고 있다. 주요사업자인 산이그나시오 에너지 리소시즈 디벨로프먼트(SIERDC)의 관계자는 지난주, 동 사업 설명을 위해 대통령궁을 방문했다. 추진되고 있는 발전소의 설비용량은 44만kW. 용지는 약 400헥타르이며, 현재 사탕수수 재배와 바이오 에탄올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동 발전소를 통해 연간 약 7억kW/h 2023-02-06 15:54
-
[NNA] 미얀마군, 8개 지역・주 37개 군구에 계엄령 발령 미얀마군의 최고의사결정기관인 국가통치위원회(SAC)는 2일, 자가인 지역과 친주 등 8개 지역・주의 37개 군구에 계엄령 ‘2023년 1~6호’를 발령했다. 3일자 국영지 글로벌 뉴 라이트 오브 미얀마가 공시했다. ‘2023년 1호’를 통해 자가인 지역의 11개 군구, 친주의 7개 군구. ‘2023년 2호’를 통해 마궤 지역의 5개 군구, 3호를 통해 바고 지역의 5개 군구, 4호를 통해 몬주와 카인주 등의 2개 군구, 5호를 통해 타닌다리 지역의 2개 군구, 6호를 통해 카야주의 4개 군구에 계엄령이 발령됐다. 2023-02-06 15:08
-
[NNA] 캄보디아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5.5%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신흥 4개국의 올해 경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겠으나, 순조로운 추이로 회복될 전망이다. 태국 사이암상업은행(SCB) 이코노믹 인텔리전스 센터(SCBEIC)가 지난달 31일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은 5.5%. 캄보디아 재무경제부의 예측(5.6%)과 거의 비슷한 수준의 전망을 내놨다. 4개국 중에는 베트남(6.2%)의 뒤를 이었으며, 3.0%로 예측된 라오스, 미얀마를 크게 웃돌았다. SCBEIC는 각국의 경제성장은 주로 내수와 관광 2023-02-06 14:21
-
[NNA] 印 정부, 수소 연료 열차 투입… 전통유적지 등에 인도 정부는 수소를 연료로 운행하는 열차 35편성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같은 시도는 ‘유산을 위한 수소’라 불리며, 열차는 유적지 등의 노선에 투입된다. 아슈위니 바이슈노 철도부 장관이 3일 국회질의에서 이 같이 밝혔다. 투입되는 비용은 열차 1편성당 8억 루피(약 12억 8000만 엔), 지상 인프라가 1노선당 7억 루피. 운행에 필요한 비용에 대해서는 아직 추산되지 않았으나, 투입되는 열차 수가 증가할수록 비용은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수소를 연료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동 장관은 수송부문의 2023-02-06 13:43
-
[NNA] 페르타미나, 印尼 최초 이중연료 LPG선 도입 인도네시아 국영석유회사 페르타미나는 해운자회사인 페르타미나 인터내셔널 시핑(PIS)이 액체연료나 가스연료로 운행이 가능한 이중연료(dual fuel) 엔진을 탑재한 국내 최초 대형 LPG(액화석유가스) 탱커(VLGC)를 인도받았다고 3일 밝혔다. 선박명은 ‘페르타미나 가스 아마릴리스’. 적재용량은 약 9만㎥로 세계 최대 규모급의 탱커라고 한다. 저유황 연료유와 LPG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연비 향상과 함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요키 PIS 최고경영책임자(CEO)는 동 탱커가 암모니아 수송도 가능하다고 2023-02-06 11:57
-
[NNA] 베트남 푹 전 국가주석, "가족은 결백"… 이례적인 해명 지난달 국가주석직을 사임한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전 국가주석은 4일 개최된 국가주석 이임식에서 신종 코로나 검사 키트의 공공조달을 둘러싼 비리사건과 관련해 일부에서 거론되고 있는 가족의 사건 관여가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2021년 4월까지 총리 재임 중에 일어난 부정부패 사건에 많은 정부 공직자가 관여된 것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지기 위해 국가주석직을 사임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정부의 고위 관료가 공식석상에서 가족의 비리의혹을 해명하는 이례적인 광경이 펼쳐졌다. 푹 2023-02-06 11:19
-
[NNA] 홍콩 행정장관, 사우디 아람코 상장 유치 활동 펼쳐 홍콩 정부 수반 존 리(李家超) 행정장관은 순방국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5일, 국영석유회사 사우디 아람코의 홍콩 상장 유치활동을 펼쳤다. 아람코의 홍콩 상장 유치는 이번 중동방문 목표 중 하나라고 한다. 홍콩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수도 리야드 도착 후 리 행정장관은 기자의 질문에 대해, 사우디아라비아 체류기간 중 아람코를 방문해 “홍콩의 우수성을 최대한 소개할 것이며, 상장을 비롯해 사우디 아람코가 다양한 형태로 홍콩과 협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4일 오후 홍콩을 출발한 리 장관은 5일 2023-02-06 10:15
-
[NNA] 지난해 민주주의 지수, 대만이 아시아 1위 영국 시사잡지 이코노미스트의 조사부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발표한 2022년 민주주의 지수 순위에서 대만이 아시아 국가 중 수위를 차지했다. 전세계 순위는 10위로, 전년(8위)보다 순위가 하락했다. 조사대상은 세계 167개국・지역. ‘선거방법과 다양화’, ‘정치기능’, ‘정치참가’, ‘정치문화’, ‘인권옹호’ 등 5개 분야를 평가해 종합점수를 산출, 순위를 매겼다. 종합점수가 8이상 10이하의 국가・지역을 ‘완전한 민주주의’, 6이상 8미만 2023-02-03 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