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가 본 아시아

전체 뉴스

  • [NNA] 말레이시아 EC 방문객 1위는 쇼피
    [NNA] 말레이시아 EC 방문객 1위는 쇼피 말레이시아의 정보수집 사이트 운영사인 아이프라이스 그룹은 지난해 4분기 말레이시아 이커머스 사이트 방문자 수(월간 평균) 순위에서 싱가포르계 쇼피(Shopee)가 4733만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쇼피는 2019년 2분기부터 줄곧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위부터는 라자다(1478만명), PG몰(709만명), 잘로라(113만명), 이베이(68만명)가 그 뒤를 이었다. 레롱은 전년 동기의 3위에서 7위로, 고숍은 5위에서 6위로 각각 하락했다. 쇼피는 미국 애플의 '앱스토어', 구글의 '구글플레이' 애 2021-02-24 15:07
  • [NNA] 태국 1월 수출액 소폭 증가... 올해는 플러스 기조 전망
    [NNA] 태국 1월 수출액 소폭 증가... 올해는 플러스 기조 전망 태국 상무부는 23일, 지난달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0.4% 증가한 197억 700만달러(약 2조 700억엔, 속보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소폭이나마 2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달성했다. 각국들의 적극적인 재정확대와 신종 코로나 백신 접종 확대 등이 주요 요인. 올해 연간 수출액은 플러스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1월 수입액은 5.2% 감소한 199억 900만달러, 무역수지는 2억 2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1월 수출액을 품목별로 보면,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주요공업제품'이 0.9% 증가 2021-02-24 14:54
  • [NNA] 아마존, 印 마힌드라 전동차부문과 제휴
    [NNA] 아마존, 印 마힌드라 전동차부문과 제휴 인터넷 쇼핑몰 아마존 인디아는 23일, 인도 자동차 제조사 마힌드라&마힌드라(M&M)의 전동차량부문 마힌드라 일렉트릭과 업무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배달차량으로 마힌드라의 전동차를 도입해 나간다는 방침. 아마존은 마힌드라의 전동삼륜차 '트레오 졸' 100여대를 수도 뉴델리, 남부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등 7개 도시에 배치해, 제휴업체들이 배송에 이용하고 있다. 아마존은 2025년까지 인도 배송용으로 현지 기업이 제조한 전동차량 1만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아킬 삭 2021-02-24 13:18
  • [NNA] 피치, 印尼 신차 사치세 감면 등 신차 수요 확대에 제한적
    [NNA] 피치, 印尼 신차 사치세 감면 등 "신차 수요 확대에 제한적"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 레이팅스는 19일, 인도네시아 정부와 중앙은행이 3월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인 신차 사치세 감면조치와 자동차 대출 계약금 한도액 완화조치에 대해, 신차 판매 대수와 자동차 대출 수요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에 따른 구매력 저하로 자동차 수요가 전체적으로 침체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조치가 수요를 반등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보고 있다. 피치는 사치세 감면조치 대상이 되는 배기량 1500cc 이하 세단과 이륜차 구매층 2021-02-24 12:44
  • [NNA] 홍콩 백신 접종 예약, 첫 날 약 7만명
    [NNA] 홍콩 백신 접종 예약, 첫 날 약 7만명 홍콩에서 23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선행 접종 대상자인 의료 종사자들에 대한 예약접수가 시작되었다. 첫 날은 오후 4시까지 약 7만명(2회분 합계)이 접수했으며, 이들은 26일부터 3월 11일까지 2주간 백신을 접종받게 된다. 백신 접종 계획을 총괄하는 패트릭 닙(聶徳権) 공무원사무국장에 의하면, 선행 접종 대상자는 60세 이상 고령자를 포함해 약 24 2021-02-24 11:48
  • [NNA] 中, 7월부터 승용차 연비기준 갱신
    [NNA] 中, 7월부터 승용차 연비기준 갱신 중국공업정보부는 23일, 승용차 연비에 관한 국가규격을 7월 1일부터 새롭게 변경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기준에 따라 연비 실험 방식 등이 변경되는 내용이 반영된다. 새로운 국가규격은 '승용차 연비 소모량 기준'으로, 2014년에 갱신된 현행규격을 대체하는 것. 공업정보부는 신규 규격에 대해, "자동차 에너지 절약과 오염물질 배출량 절감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줄이고, 2060년에는 탈탄소사회 실현을 목표로 한다는 정부의 목표 실현에 기여하게 될 것&qu 2021-02-24 10:50
  • [NNA] 베트남, 1월 하순부터 국내감염 800명으로 늘어
    [NNA] 베트남, 1월 하순부터 국내감염 800명으로 늘어 베트남 보건부는 22일 오후 6시 기준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가 전날보다 9명 늘어, 1월 하순부터 시작된 국내 감염자 수가 총 800명이라고 밝혔다. 북부 하이즈엉성에서 6명, 하이퐁시에서 3명의 국내 감염이 발생했다. 하이즈엉성의 국내 감염자 수는 617명으로 가장 많으며, 보건부는 "하이즈엉성은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한 감염확산으로 상황이 복잡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베트남의 감염자 수는 총 2392명으로 완치자는 1717명. 격리조치·경과관찰 대상자는 12만 82 2021-02-23 12:37
  • [NNA] 태국, 1월 신차판매 21% 감소... 3개월 만에 하락
    [NNA] 태국, 1월 신차판매 21% 감소... 3개월 만에 하락 태국토요타자동차(TMT)는 22일, 지난달 태국 시장 신차판매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3% 감소한 5만 5208대였다고 밝혔다. 3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발생한 태국 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2차 유행으로 소비자 심리가 얼어붙어, 승용차 판매대수는 -44.2%로 큰 부진을 보였다. TMT는 태국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 2차 유행이 경제를 비롯, 태국 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하며, 특히 관광업과 서비스업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신 2021-02-23 12:22
  • [NNA] 미얀마, 전국적인 총파업 결행... 역대 최대규모 시위
    [NNA] 미얀마, 전국적인 총파업 결행... 역대 최대규모 시위 군부가 쿠데타로 전권을 장악한 미얀마에서 22일, 쿠데타에 항의하는 시민들이 총파업에 나섰다. 전국 각지의 슈퍼마켓, 상업시설, 공장 등이 임시휴업에 들어갔으며, 최대도시 양곤을 비롯한 각지에서 대규모의 시위가 발생, 경제가 마비되는 등 큰 혼란에 빠졌다. 군 당국은 오후 9시(현지시간)까지 무력행사를 통한 강력진압에는 나서지 않고 있다. 군 당국은 21일 밤, "목숨을 건 대립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으나, 대규모 시위는 강행됐다. 시위 참가자는 양곤에 2021-02-23 11:25
  • [NNA] 타타車, SUV 신형 사파리 출시
    [NNA] 타타車, SUV 신형 '사파리' 출시 인도 자동차 제조사 타타모터스는 22일, SUV 신형 '사파리'를 출시했다. 전년 대비 20% 증가된 판매를 보이고 있는 SUV 세그먼트 강화에 나선다. 배기량 1956cc의 디젤 엔진을 탑재했다. 6단 자동변속기(AT)로 최고출력은 170마력(PS)/3750rpm. 북부 델리 매장의 판매가격은 146만 9000루피(약 214만엔)부터. SUV는 인도 승용차 시장에서 인기있는 세그먼트. 타타모터스는 성명을 통해, 이번 연도(2020년 4월~2021년 2021-02-23 09:52
  • [NNA] 印尼, 올해 유급휴가 소화일 5일 삭감... 연 2일간
    [NNA] 印尼, 올해 유급휴가 소화일 5일 삭감... 연 2일간 인도네시아 정부는 22일, 올해 유급휴가 일제 소화일을 대폭 삭감한다고 밝혔다. 당초 예정된 연 7일에서 5일을 줄여 2일간으로 한다. 장기간의 연휴동안 귀성 및 여행에 나서는 사람들의 이동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노동부, 종교부, 행정개혁부 장관 등 3개부처 장관이 공동으로 이같이 밝혔다. 구체적인 일자는 금식기간인 라마단이 종료되는 2021-02-23 09:39
  • [NNA] 홍콩 1월 CPI, 1.9% 상승... 7개월 만에 플러스
    [NNA] 홍콩 1월 CPI, 1.9% 상승... 7개월 만에 플러스 홍콩정부통계처는 22일, 1월 종합소비자물가지수(종합 CPI)가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월에 정부가 공영주택 거주자들에게 임대료 보조금을 지원, 기저효과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상승을 기록한 것은 7개월 만이다. 인구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중저소득세대(월 평균 지출 약 6300~2만 7600HK달러=약 8만 6000~37만 6500엔, 2020년을 기준으로 조정)를 대상으로 산출한 갑류소비자물자지수도 6.3% 상승했다. 정부가 중저소득자들에게 지급하는 생활지원보조금의 영향을 배제한 지 2021-02-23 09:21
  • [NNA] 中, 춘제기간 데이터 통신량 20% 증가... 귀성자제 움직임 등으로
    [NNA] 中, 춘제기간 데이터 통신량 20% 증가... 귀성자제 움직임 등으로 중국공업정보부는 20일, 춘제(春節) 연휴기간인 2월 11~17일 모바일 데이터 통신량이 357만 3000테라바이트(TB)에 달했다고 밝혔다. 전년의 춘제연휴에 비해 23.4% 증가했다. 정부의 귀성 및 이동 자제요청에 따라, 새해 인사나 세뱃돈 '훙바오(紅包)'를 온라인으로 송금한 사람이 늘어, 데이터 통신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섣달 그믐날인 11일과 춘제날인 12일의 데이터 통신량은 각각 28.7%, 26.1% 증가했다. 동영상 공유 앱인 '틱톡'의 중국판인 '더우인(抖音)'에 의하면, 2021-02-23 09:06
  • [NNA] 싱가포르 국내 도매판매액, 지난해 4분기 27% 하락
    [NNA] 싱가포르 국내 도매판매액, 지난해 4분기 27% 하락 싱가포르 통계국은 19일, 지난해 4분기 국내 도매판매액 지수(2017년=100, 명목, 속보치)가 전년 동기 대비 27.2% 하락했다고 밝혔다. 원유가격 하락과 국내수요 축소를 배경으로, 석유관련 판매가 크게 부진했다. 석유를 제외한 전체 지수는 8.9% 하락에 그쳤다. 8분기 연속 전체 성장률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2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 폭이 축소되고 있으며, 전 분기 대비(계절조정치)로는 6.3% 상승을 기록했다. 항목별로는 전체 12개 항목 중 10개 항목이 전년 동기를 밑돌았다. 특히 석유&m 2021-02-22 11:55
  • [NNA] 미얀마 22일 사실상 총파업 돌입... 사망자 4명
    [NNA] 미얀마 22일 사실상 총파업 돌입... 사망자 4명 미얀마에서 군사쿠데타가 발생한지 3주가 지난 21일까지 치안부대의 무력행사로 사망한 민간인은 총 4명. 시위활동이 점차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군 당국은 탄압을 강화하고 있다.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은 22일, 역대 최대 규모의 시위를 계획하고 있다. 지금까지 정상영업을 유지해 온 대형슈퍼 등도 이날 폐업을 공표하고 있어, 사실상의 '총파업'이 될 전 2021-02-22 11:37
  • [NNA] 中 화난지역 춘제 전력소비량, 전년 대비 15% 증가
    [NNA] 中 화난지역 춘제 전력소비량, 전년 대비 15% 증가 중국 화난(華南)지역 송전사업자 중국남방전망(中国南方電網)에 의하면, 춘제기간(2월 11~17일) 관할지역(광둥(広東), 윈난(雲南), 구이저우(貴州), 하이난(海南)의 각 성과 광시좡족자치구)의 전력소비량이 전년의 춘제기간에 비해 14.6% 늘었다. 또한 최대전력수요는 12.7% 증가한 1억 1600만kW였다. 전력소비량은 기업들의 춘제기간 조업 등으로 예년보다 늘어, 산업별로는 2차산업이 33.6% 증가했다. 1차산업은 21.4% 증가, 3차산업은 15.6%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31.8% 증가해 전체 전력소 2021-02-22 10:53
  • [NNA] 싱가포르 노점상 호커 50% 이상이 전자결제 도입
    [NNA] 싱가포르 노점상 '호커' 50% 이상이 전자결제 도입 싱가포르 호커(노점상)에 전자결제가 확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싱가포르 내 호커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1만여점이 전자결제를 도입했다. 정부는 도입 점포 수를 늘리기 위해, 혜택적용 기간을 연장하는 한편, 전자결제 시스템 개선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기업청 등이 19일 공표한 성명에 의하면, 지난달 노점상들의 전자결제 이용건수는 120만건, 이용금액은 1400만S달러(약 11억 1400만엔)에 달했다. 전자결제 도입촉진 프로그램이 개시된 2020년 6월에 비해, 약 4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정 2021-02-22 09:59
  • [NNA] 印尼 발리공항, 영업시간 오후 8시까지로 단축
    [NNA] 印尼 발리공항, 영업시간 오후 8시까지로 단축 인도네시아 발리주 응우라라이공항은 18일, 영업시간을 기존 오전 7시~오후 11시에서 오전 7시~오후 8시로 단축한다고 밝혔다. 18일부터 적용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확산으로 항공사 운항편수가 감소, 업무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한 조치다. 국영 공항운영회사 앙카사 프라(AP)1 응우라라이 공항지부의 헤리 제네럴매니저는 "이 공항은 1시간에 18편의 항공기 이착륙 처리능력이 있으나, 현재는 10~14편에 그치고 있다"고 지 2021-02-22 0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