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셧다운 여파…美 10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취소 미국 노동부가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의 여파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보고서를 발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셧다운 기간 동안 핵심 설문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통계 산출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21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은 "2025년 10월 CPI를 발표하지 않는다"고 공식 발표했다. 노동통계국은 셧다운 기간 조사대상 기간의 설문 자료를 전혀 수집하지 못했으며, 누락된 데이터를 사후에 보완하는 것도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설문조사 없이도 취합 가능한 일 2025-11-22 10:25 -
데이터센터 구축 '속도' 오픈AI, 폭스콘과 손잡았다…소프트뱅크는 장비공장에 4조원 투자 인공지능(AI) 버블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오픈AI를 비롯한 빅테크들은 데이터센터 건립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오픈AI는 데이터센터용 하드웨어 개발을 위해 대만 폭스콘(훙하이)과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이날 밝혔다. 오픈AI는 AI 산업의 하드웨어 수요 정보를 공유하고, 폭스콘은 하드웨어 설계와 제조를 맡는 방식이다. 데이터센터 서버랙과 케이블, 네트워킹, 냉각 및 전력 체계, 기타 핵심 장비 등이 개발 대상 부품으로 포함됐다. 오픈AI는 브로드컴과 협업 2025-11-21 14:37 -
'기술 주도 성장' 내건 월마트, 53년 만에 뉴욕거래소 떠난다...나스닥으로 이전 미 최대 유통체인 월마트가 53년 만에 뉴욕증권거래소를 떠나 나스닥으로 이전한다. 월마트는 20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 발표에서 내달 9일부터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나스닥으로 이전 상장한다고 발표했다. 월마트는 1972년부터 53년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거래돼 왔다. 월마트는 "사람 중심, 기술 주도라는 우리의 장기 전략에 부합한다"며 이전 상장의 의미를 부여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시가총액 4위(8520억 달러)인 월마트의 나스닥 이전은 역대 최대 규모 이전 상장이다. 이에 따라 오랜 경쟁자인 2025-11-21 11:05 -
美연준 쿡 이사 "고평가 자산 하락 가능성 커져"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리사 쿡 이사가 고평가된 금융자산의 가격 하락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쿡 이사는 이날 미국 워싱턴DC 조지타운대 경영대학원에서 열린 공개연설에서 "고평가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증가했다는 게 현재 내가 가진 인상"이라고 밝혔다. 인공지능(AI) 버블 우려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고평가된 금융자산의 가격 하락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 것이다. 다만 그는 "그러나 금융시스템의 전반적인 회복력에 비 2025-11-21 09:51 -
[뉴욕증시 마감] 하루 만에 사라진 엔비디아 효과...나스닥 2.2%↓ 뉴욕증시 주요 주가지수가 하락세로 마감했다. 엔비디아의 호실적이 뒷받침하면서 이날 오전까지 강세를 보였지만, 인공지능(AI) 버블 우려가 다시 되살아나며 장중 급락 반전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6.51포인트(-0.84%) 내린 4만5752.2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03.40포인트(-1.56%) 내린 6538.7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86.18포인트(-2.15%) 내린 2만2078.05에 각각 문을 닫았다. 이날 장중 엔비디 2025-11-21 08:18 -
엔비디아, 호실적으로 AI 거품론 날렸다…글로벌증시 일제히 급등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엔비디아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인공지능(AI) 거품론을 잠재웠다. 이에 한동안 AI 거품론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던 글로벌 증시도 모처럼 급등하며 날개를 폈다. 엔비디아는 19일(현지시간) 실적 발표에서 자체 회계연도 3분기(2025년 8∼10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한 570억1000만 달러(약 83조400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전망치(549억2000만 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칩을 담당하는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2025-11-20 16:44 -
日 다카이치 '20조엔' 부양책 발표 앞두고 우려 고조…'셀 재팬' 가능성도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21일 대규모 부양책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이를 둘러싸고 정책 실패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0일 교도통신 등 일본 매체들에 따르면 다카이치 총리는 21일 총 20조엔(약 187조원) 이상의 경제 대책을 발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는 당초 예상액이던 17조엔보다 늘어난 것으로 지방정부 보조금 2조엔, 양육 수당 4000억엔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의 부양책으로, 추가경정예산 규모 역시 작년의 13조9000억엔보다 늘어난 17조엔에 달할 전망 2025-11-20 15:56 -
10월 美FOMC 의사록 "12월 '금리동결' 의견 우세"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 중 상당수가 12월 연방공개준비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공개된 10월 FOMC 회의 의사록은 "많은(many) 참석자들은 각자의 경제전망에 비춰볼 때 올해 남은 기간 기준금리를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라고 전했다. 반면 몇몇(several) 참석자들은 경제 상황이 예상에 부합할 경우 12월 기준금리 인하가 적절하다는 견해 2025-11-20 10:48 -
美 반도체 관세 지연 가능성…"미중갈등·물가상승 우려 감안"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여러 차례 강조해온 수입 반도체 고율 관세 부과를 미룰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로이터통신은 19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인사를 인용해 미 정부 당국자들이 최근 수일간 정부 및 민간 유관 인사들에게 반도체 관세 부과가 곧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 6일 "반도체에 약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집적회로(chips)와 반도체(semiconductors)"가 대상이라고 밝혔 2025-11-20 08:58 -
[뉴욕증시 마감] 엔비디아 실적 앞두고 '출렁'...기술주 중심 반등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장중 크게 출렁였지만 기술주 매수세 유입으로 동반 반등했다. 인공지능(AI) 거품 논란 속 엔비디아의 실적에 대한 경계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12월 정책금리 인하 기대 후퇴가 증시에 변동성을 불어넣어 장중 약세를 보였다가 다시 상승 전환했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7.03포인트(0.10%) 오른 4만6138.7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24.84포인트(0.38%) 상승한 6642.16, 나스닥 2025-11-20 08:30 -
"中, 일본 수산물 수입 중단" 다카이치 총리 발언 파장 확대 중국 정부가 일본 수산물 수입 중단을 통보했다고 교도통신이 한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19일 보도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 시 무력 개입 발언의 파장이 점점 확대되는 모양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정식 외교 채널을 통해 해당 내용을 통보했다. 중국 측은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에 따른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며 수산물 수입 중단 이유를 알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중국은 이달 초 일본 수산물 수입을 재개한 지 2주 만에 다시 수입을 멈추게 됐다. 2025-11-19 13:49 -
[속보] 교도통신 "中, 일본에 수산물 수입 중지 통보" 교도통신 "中, 일본에 수산물 수입 중지 통보" 2025-11-19 13:26 -
트럼프, 차기 연준의장 결정 시사 "내 선택 알고 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차기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이미 결정했음을 시사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힐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의 회담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차기 연준 의장 후보자들에 대한 면접을 개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후보자 명단에는) 깜짝 놀랄 만한 이름도 있고, 모두가 기본적으로 얘기했던 이름도 있다"며 "나는 이미 내 선택을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q 2025-11-19 10:46 -
[뉴욕증시 마감] 엔비디아 실적 하루 앞두고 'AI 기술주 패닉'에 1% 전후 하락 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엔비디아 3분기(8~10월) 실적 발표를 하루 앞두고 기술주 중심으로 동반 하락했다. 인공지능(AI) 거품 논란과 기업 실적 부진, 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겹치며 위험자산 회피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98.50포인트(1.07%) 내린 4만6091.7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55.09포인트(0.83%) 하락한 6617.32, 나스닥 종합지수는 275.23포인트(1.21%) 밀린 2만2432.85에 장을 마쳤다. 다우 2025-11-19 08:26 -
엔/달러 환율, 155엔 넘어 9개월래 최고…日 재무상 "과도한 변동 우려" 가타야마 사쓰키 일본 재무상이 최근 가속화하는 엔저 흐름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가타야마 재무상은 이날 각의(국무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투기적 동향을 포함해 외환시장에서의 과도한 변동이나 무질서한 움직임에 대해 높은 긴장감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며 "매우 일방적이고 급격한 움직임도 나타나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12일 "(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플러스와 마이너스 측면이 있지만 마이너스 측면이 눈에 띄게 된 점 2025-11-18 11:33 -
[뉴욕증시 마감] AI 거품론 재부상…엔비디아 실적 앞두고 일제히 하락 인공지능(AI) 거품론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약세로 마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2월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한 점도 투자심리를 짓눌렀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57.24포인트(1.18%) 떨어진 4만6590.2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61.70포인트(0.92%) 내린 6672.41,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92.51포인트(0.84%) 밀린 2만2708.07을 기록했다. 다우존스와 S&P 500지수는 2025-11-18 08:20 -
일본 3분기 경제성장률 -0.4%…6분기만에 마이너스 전환 일본 경제가 6분기 만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다. 17일 NHK 등에 따르면 일본 내각부가 17일 발표한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은 전 분기 대비 0.4% 감소했다. 연율로 환산하면 –1.8%로, 작년 2분기부터 이어진 5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가 끊겼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 소비지출은 0.1% 증가했고 기업의 설비투자도 1.0% 늘었다. 반면 민간 주택 투자는 –9.4%로 크게 줄었고, 재화·서비스 수출도 –1.2%를 기록하며 전체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NHK는 3분기 경제 2025-11-17 11:13 -
FT "외국인 투자자, 4년만에 중국 증시로 대거 복귀" 올해 중국 증시로의 해외 자금이 4년 만에 최대치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동안 '투자 불가'로 여겨졌던 중국 시장을 글로벌 자금이 다시 재평가하기 시작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6일 보도했다. FT가 국제금융연구소(IIF)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올해 1~10월 중국 주식 시장으로 유입된 외국 자금을 506억달러(약 73조 6500억원)로 집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14억 달러 대비 4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특히 올해 인공지능(AI) 기업 딥시크의 혁신적 모델 출시, 2025-11-16 1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