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 마감] 알파벳, 기술주 견인…9% 폭등
    [뉴욕증시 마감] 알파벳, 기술주 견인…9% 폭등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된 가운데 알파벳 주가 급등이 기술주 상승을 주도했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58포인트(0.05%) 내린 4만5271.23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장보다 32.72포인트(0.51%) 뛴 6,448.26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218.10포인트(1.02%) 튀어 오른 2만1497.73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 연방법원은 전날 장 마감 후 구글이 핵심 사업 중 하나인 크롬을 매 2025-09-04 08:14
  • 트럼프 팁 소득세 면제 승자는 유튜버 등 인플루언서
    "트럼프 '팁 소득세 면제' 승자는 유튜버 등 인플루언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지난 7월 미 의회가 통과시킨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에 담긴 팁에 대한 세금 면제의 수혜자로 정치 유튜버 등 인플루언서들이 있다고 미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외신에 따르면, 이 법안은 7월 4일 트럼프 대통령 서명 후 90일 이내에 세금 면제 자격이 있는 직업의 최종 리스트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비즈니스인사이더와 악시오스 등이 확인한 미 재무부의 팁 소득 면세 직업 리스트 초안에는 ‘디지털 콘텐 2025-09-03 17:52
  • 日은행 부총재 美관세 충격 주시…금리 인상 판단 신중론
    日은행 부총재 "美관세 충격 주시"…금리 인상 판단 신중론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 히미노 료조 부총재가 미미국의 대외 관세 정책이 일본 경제에 미칠 충격이 앞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경제와 물가 상황을 면밀히 살핀 뒤 추가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3일 아사히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히미노 부총재는 전날 홋카이도 구시로시에서 열린 금융경제 간담회 강연에서 미국 관세 정책이 일본 기업 수출과 생산 등에 끼치는 영향이 생각했던 만큼 현저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관세의 영향은 아직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 2025-09-03 17:34
  • [뉴욕증시 마감] 관세 불확실성에 하락…나스닥 0.82%↓
    [뉴욕증시 마감] 관세 불확실성에 하락…나스닥 0.82%↓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2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세가 위법이라는 미 항소심 결정에 따라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9.07포인트(-0.55%) 내린 4만5295.81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4.72포인트(-0.69%) 내린 6415.54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75.92포인트(-0.82%) 2025-09-03 08:19
  • 인도, 175개 품목의 상품·서비스세 최소 10% 인하…美 관세 충격 대응
    "인도, 175개 품목의 상품·서비스세 최소 10% 인하…美 관세 충격 대응" 인도 정부가 미국의 50%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샴푸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가전제품 등 약 175개 품목의 상품·서비스세(GST)를 최소 10% 인하할 계획이라고 로이터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총리 정부가 추진하는 이번 GST 개편은 약 10년 만의 최대 규모 세제 개편이다. 앞서 모디 총리는 지난달 독립기념일(8월 15일) 연설을 통해 일용품을 더 싸게 할 것이라며 GST 개편을 시사한 바 있다. 2017년 도입된 GST는 각종 상품·서비스 품목을 4 2025-09-02 15:25
  • 국제 금 가격, 3500달러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9월부터 연준 본격 금리 인하 기대
    국제 금 가격, 3500달러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9월부터 연준 본격 금리 인하 기대" 금 가격이 온스 당 3500달러(약 487만원)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부터 본격적인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높아진 것이 크게 작용한 모습이다. 2일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아시아 장에서 장중 한때 0.9% 오르며 온스 당 3508.73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지난 4월 사상 최고치(3500.1달러) 기록 이후 5개월 만에 재차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에 금 가격은 올해 들어 30% 이상 오른 가운데 현재까지 수익률이 2025-09-02 11:22
  • 韓 기업, D램·낸드·OLED 등 4개 분야서 점유율 세계 1위
    "韓 기업, D램·낸드·OLED 등 4개 분야서 점유율 세계 1위" 지난해 주요 상품·서비스 71개 분야 중 4개에서 한국 기업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일 보도했다. 닛케이가 공개한 ‘2024년 주요 상품·서비스 세계 시장 점유율’ 조사에서 한국 기업이 선두에 오른 품목은 △D램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낸드 플래시 반도체 △초박형 TV 등 4개로, 모두 삼성전자가 점유율 1위를 지켰다. 해당 품목의 2위 역시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LG전자 등 한국 기업이 차지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세부 점 2025-09-02 10:33
  • 韓, 방산수출 신흥강자로 부상…나토 시장서 美 뒤이어 공동 2위
    "韓, 방산수출 신흥강자로 부상…나토 시장서 美 뒤이어 공동 2위" 전 세계적인 군비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한국과 튀르키예가 신흥 방산 수출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8월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웨덴 싱크탱크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의 ‘국제무기거래 동향 2024’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 5년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에 대한 무기 수출에서 프랑스와 함께 공동 2위(점유율 6.5%)를 기록했다. 최대 수출국은 미국(64%)이었다. 한국의 전체 무기 수출은 2020~2024년 기간 전 세계 10위(점유율 2.2%) 2025-09-01 15:29
  • 美항소법원 트럼프 상호관세 불법…품목별 관세 확대 가능성
    美항소법원 "트럼프 상호관세 불법"…품목별 관세 확대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대부분 국가를 대상으로 부과한 ‘상호관세’에 대해 미국 연방 항소법원이 위법 판결을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법원 상고 의사를 밝힌 가운데 보수 성향이 우세한 연방 대법원이 이를 뒤집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반면 상호관세가 무효화될 경우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알루미늄 등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를 강화하거나 다른 법률을 근거로 고율 관세 정책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9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워싱턴 DC 연방순회항소법원은 이 2025-08-31 14:56
  • 美, 삼성·SK 中 공장 포괄허가 박탈… 내년부터 일일이 허가받아야
    美, 삼성·SK 中 공장 포괄허가 박탈… 내년부터 일일이 허가받아야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반도체 공장에 대해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지위를 취소하기로 하면서, 두 기업은 내년부터 장비를 들일 때마다 개별적으로 허가를 받아야 한다. 생산라인의 기술 업그레이드와 설비 확충은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구조다. 29일(현지시간) 미국 연방 관보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오는 9월 2일(현지시간) 공식적으로 해당 조치를 게재하고 120일 뒤부터 시행한다. 이번 발표에 따라 삼성 시안 낸드 공장, SK하이닉스 우시 D램 공장, 다롄 낸드 공장은 모두 기존과 2025-08-30 10:50
  • 美, 소액 소포 면세 영구 폐지....예외 국가 없다
    美, 소액 소포 면세 영구 폐지...."예외 국가 없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소액 소포 면세 제도 폐지가 영구적이며 어느 국가에도 예외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 고위당국자는 28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대통령이 향후 이 정책을 바꿀 수도 있냐는 질문에 "이건 영구적인 변화다. 소액 면세 제도는 이 나라가 한 가장 어리석은 짓 중 하나"라고 답했다. 미국은 그간 개인이 1일 수입하는 제품의 가치가 800달러를 넘지 않는 경우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 제도를 운용해왔다. 그러나 이 제도가 마약 등 금지된 품목을 몰래 들여오거나 2025-08-29 14:25
  • [뉴욕증시 마감] 엔비디아 낙관론에...3대 지수 동반 강세
    [뉴욕증시 마감] 엔비디아 낙관론에...3대 지수 동반 강세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다. 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 가운데 그래도 낙관론이 우세했던 영향이다. 28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1.67포인트(0.16%) 오른 4만5636.90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0.46포인트(0.32%) 상승한 6501.86, 나스닥종합지수는 115.02포인트(0.53%) 뛴 2만1705.16에 문을 닫았다. 업종별로 보면 필수소비재와 의료건강, 부동산, 유틸리티가 하락했다. 시가총액 1 2025-08-29 08:14
  • [속보] 미국 2분기 성장률 잠정치 3.3%…속보치서 0.3%p ↑
  • 트럼프 디지털 규제 국가에 추가관세·수출통제 발언에 EU 무역 합의 재검토 할수도
    트럼프 "디지털 규제 국가에 추가관세·수출통제" 발언에 EU "무역 합의 재검토 할수도" 유럽연합(EU) 산업 수장이 미국 정부가 계속 EU의 디지털 규제를 문제 삼는다면 미국-EU 간 무역 합의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거대 기술(빅테크) 기업들을 상대로 디지털 규제를 시행하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추가 관세 및 수출 통제 등을 시행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은 가운데 디지털 규제를 둘러싸고 또다시 미국과 EU 간 충돌이 고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7일(현지시간)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유럽판에 따르면 스테판 세주르네 EU 번영·산업전략 수석 2025-08-28 15:04
  • [뉴욕증시 마감]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선반영하며 상승…S&P500 0.3%↑
    [뉴욕증시 마감] 엔비디아 실적 기대감 선반영하며 상승…S&P500 0.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다. 미국 인공지능(AI) 칩 제조업체 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기대감이 반영되며 완만하게 상승했다. 27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47.16포인트(0.32%) 오른 4만5565.23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5.46포인트(0.24%) 상승한 6481.40, 나스닥종합지수는 45.87포인트(0.21%) 뛴 2만1590.14에 장을 마쳤다. 시장에서는 이날 엔비디아의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가운 2025-08-28 08:40
  • [뉴욕증시 마감] 트럼프 연준 장악 시도 속 상승…S&P500 0.4%↑
    [뉴욕증시 마감] 트럼프 연준 장악 시도 속 상승…S&P500 0.4%↑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장악 시도에도 불구하고 법적 대응과 연준의 독립성 유지 기대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2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5.60포인트(0.30%) 오른 4만5418.0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6.62포인트(0.41%) 뛴 6465.95, 나스닥종합지수는 94.98포인트(0.44%) 상승한 2만1544.27에 장을 마쳤다. 이날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2025-08-27 08:30
  • [종합] 경고로 시작해 환영으로 끝나 외신들, 한·미 정상회담 초반 우려 불구 성공적 진행 평가
    [종합] "경고로 시작해 환영으로 끝나" 외신들, 한·미 정상회담 초반 우려 불구 성공적 진행 평가 25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진행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간 정상회담을 두고 외신들은 “긴장은 피했다” “경고로 시작해 환영으로 끝났다”는 평가를 내놓으며 당초 우려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분위기 속에 마무리됐다고 진단했다. 이날 협상이 시작되기 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숙청 또는 혁명이 일어나는 것 같다. 우리는 그것을 수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할 수 없다”는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협상이 순조롭 2025-08-26 16:25
  • [종합] 트럼프, 美 빅테크 규제 국가들에 추가 관세·수출 통제 엄포…한국도 타겟 되나
    [종합] 트럼프, 美 빅테크 규제 국가들에 추가 관세·수출 통제 엄포…한국도 타겟 되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거대 기술(빅테크) 기업들을 상대로 디지털 규제를 시행하는 국가들에게 추가 관세 및 반도체 수출 통제 등의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엄포를 놓았다. 미국은 그동안 한국을 향해서도 온라인 플랫폼법 및 망 수수료와 같은 디지털 규제를 문제 삼아 온 가운데 관련 문제들이 재차 불거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미국 대통령으로서 나는 우리의 위대한 미국 기업들을 공격하는 국가들에 맞 2025-08-26 1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