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가 본 아시아

전체 뉴스

  • [NNA] HKMA 총재, 홍콩 자금유출설 부정
    [NNA] HKMA 총재, 홍콩 자금유출설 부정 위웨이원(余偉文) 홍콩금융관리국(HKMA) 총재는 8일, HKMA의 공식 블로그를 통해, 홍콩에 자금이 계속 유입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최근 들어 제기되고 있는 자금유출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켰다. 위 총재는 지난해 미국 달러에 대한 홍콩 달러 강세가 이어졌다고 지적하며, 환율이 미국 달러와의 페그제 허용변동폭(1달러=7.75~7.85HK달러)의 상한인 7.75HK달러에 육박했기 때문에, 지난해 4월 이후 환율시장에 85회 개입했다고 밝혔다. 달러 매입 금액은 2010년 이후 최고인 500억달러(약 5조 2700 2021-02-10 15:55
  • [NNA] 필리핀 기업우대 법안, 2천억페소 투자유치
    [NNA] 필리핀 기업우대 법안, 2천억페소 투자유치 라몬 로페즈 필리핀 무역산업부 장관은 8일, 세제개혁 두 번째 조치인 '기업부흥세 우대법안(CREATE)' 시행으로 2000억페소(약 4370억엔) 이상의 신규 투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고용창출효과는 최대 200만명으로 전망했다. 로페즈 장관은 성명을 통해, 3년 이상 심의해 온 동 법안이 시행되면, 투자 불투명성이 해소돼 2000억페소 이상의 신규투자를 유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140만~200만명의 고용창출효과도 있다면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어려운 고용상황을 회복 2021-02-10 15:36
  • [NNA] 말레이시아 KFC, 대체육 햄버거 출시
    [NNA] 말레이시아 KFC, 대체육 햄버거 출시 미국 패스트푸드 체인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KFC)'을 말레이시아에서 운영하고 있는 QSR브랜즈는 8일, KFC에서 식물유래 대체육을 사용한 햄버거를 발매한다고 밝혔다. 'KFC 제로치킨버거'를 전국 매장에서 기간 한정으로 판매한다. 판매는 재고 소진 시 종료될 예정이다. 동 상품은 대체육을 제조, 판매하는 영국 업체와 제휴를 통해 판매된다.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포화지방분이 적으며, 콜레스테롤 제로인 고단백질 대체육을 패티로 사용한다. 가격은 단품이 12.99링깃(약 340엔). 2021-02-10 15:03
  • [NNA] 미국∙유럽, 미얀마에 대한 제재 부활하나... 송금제한, 관세인상 우려
    [NNA] 미국∙유럽, 미얀마에 대한 제재 부활하나... 송금제한, 관세인상 우려 1일 발생한 쿠데타와 관련해, 미얀마에서는 유럽연합(EU)과 미국이 다시 경제제재를 부과하는거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금융제재가 발동되면, 일본 기업을 비롯한 외국자본들의 대 미얀마 투자의욕은 하락할 수 밖에 없다. 유럽과 미국이 미얀마산 상품에 관세를 인상할 경우, 봉제품 등 주력상품의 수출감소가 우려된다. "미국 달러 송금이 제한되면, 2021-02-10 14:48
  • [NNA] SKIET, 사용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NNA] SKIET, 사용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SK이노베이션의 소재사업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는 8일, 국내 사업장에서 필요한 전력 전량을 친환경 전력으로 조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에서 이와 같은 시도를 하는 기업은 SKIET가 처음이다. SKIET는 이를 위해 한국전력공사에 할증요금을 지불해 태양광이나 수력 등 친환경 에너지 유래의 전력구매제도를 활용한다. SKIET는 공급받은 전력을 충북 증평군과 청주시에 위치한 리튬이온배터리 분리막 공장 등에 공급한다. 향후 해외 공장에서도 순차적으로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해 나갈 2021-02-10 13:49
  • [NNA] 印尼 서자바 고속도로 노면손실, 통행금지
    [NNA] 印尼 서자바 고속도로 노면손실, 통행금지 인도네시아 서자바주 치코포-파리마난 고속도로(치파리 고속도로, 117km)의 일부 구간이 9일 새벽, 큰비의 영향으로 노면이 파손돼 해당구간 편도차선 통행이 금지되고 있다. 고속도로 운영사 린타스 마르카 세다야는 이날 파손구간 복구에 약 2주가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 노면이 파손된 곳은 치파리 고속도로 122.4km 지점. 9일 오전 1시부터 자카르타 방면으로 향하는 차선 117km 지점에서 126km 지점까지 통행이 금지되고 있으며, 반대차선만 운행되고 있다. 린타스 마르카 세다야는 정체해소를 위 2021-02-10 13:31
  • [NNA] 홍콩거래소 CEO, JP모건 출신 아구진 임명
    [NNA] 홍콩거래소 CEO, JP모건 출신 아구진 임명 홍콩거래소(HKEX)는 9일, JP모건 체이스의 국제 프라이빗 뱅킹 부문 최고경영책임자(CEO)를 맡고 있는 니콜라스 아구진(Nicolas Aguzin)이 홍콩거래소 그룹의 정식 차기 CEO로 결정되었다고 발표했다. 5월 24일 취임 예정이며, 임기는 2024년 5월 23일까지 3년간. 아구진 차기 CEO는 1990년에 JP모건에 입사. 2005~2012년 중남미 부문 CEO, 2015~2019년에는 아시아태평양 투자은행 부문 최고위직 등을 역임했다. 로라 차(史美倫) 홍콩거래소 회장은 "중국 본토에 대한 깊은 지식을 비롯해 자본시장과 금융 2021-02-10 12:47
  • [NNA] 中 1월 휴대폰 출하대수, 93% 증가한 4012만대
    [NNA] 中 1월 휴대폰 출하대수, 93% 증가한 4012만대 중국공업정보부 산하 싱크탱크인 중국정보통신연구원(中国信息通信研究院, CAICT)은 9일, 지난달 중국 내 휴대폰 단말기 출하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92.8% 증가한 4012만대였다고 밝혔다. 9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이 중 5G 대응기종은 2727만 8000대로, 한달 기준 최고치를 기록했다. 5G기기는 전체의 68.0%를 차지했으며, 8개월 연속 점유율 60% 이상을 기록했다. 1월에 출시된 신 기종 휴대폰 단말기는 17.6% 증가한 40기종이며, 이 중 23기종이 5G 대응기기였다. 중국 브랜드 휴대폰 출하대수 2021-02-10 12:30
  • [NNA] 싱가포르 실질가구소득, 10년 만에 하락
    [NNA] 싱가포르 실질가구소득, 10년 만에 하락 싱가포르 통계국이 8일 공표한 가구소득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가구소득이 10년 만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에서 소득 감소폭이 컸다. 지난해 명목가구소득 중간치는 월 9189S달러(약 72만 6700엔)로, 전년 대비 2.4% 하락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로는 2.5% 하락. 모두 적어도 11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세대 1인당 소득은 2886S달러. 명목으로 1.3%, 실질로 1.2% 각각 하락했다. 세대소득으로 하위 10%에 포함되는 저소득층 1인당 소득은 실질로 6 2021-02-10 11:59
  • [NNA] 미얀마 짯, 쿠데타 이전보다 6% 하락
    [NNA] 미얀마 짯, 쿠데타 이전보다 6% 하락 미얀마 화폐인 짯의 달러 대비 환율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미얀마 중앙은행이 8일 오후 4시에 발표한 참고환율은 1달러=1410짯으로, 1일에 발생한 쿠데타 이전과 비교하면 6% 하락했다. 참고환율은 이날 은행간 거래 및 시중은행의 대 고객 외화매매가격 등으로 산출된다. 8일 환율은 전 영업일보다 1짯 하락(달러 대비 짯 가치 상승)으로 전환됐으나, 1월 29일보다 78.8짯이 상승된 수준이다. 짯 약세의 배경에는 미래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심리 고조가 있다. 쿠데타 이후 5000짯(약 377엔)과 1만 2021-02-10 11:59
  • [NNA] <코로나 사태 1년> 일본계 기업 40%가 실적악화... 재택근무가 일상으로
    [NNA] <코로나 사태 1년> 일본계 기업 40%가 실적악화... 재택근무가 일상으로 한국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가 발생한지 1년이 지났다. 일본계 기업 중에도 '비대면' 수요확대의 흐름 속에서 실적이 호전된 기업도 있으나, 대부분의 기업은 겨우 어떻게든 버텨왔다고 말하는게 솔직한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NNA가 최근에 실시한 세 번째 코로나 설문조사(유효응답 40개사)에서도 각 기업들의 2021-02-09 17:19
  • [NNA] 베트남 국내감염 49명 증가, 호치민은 일부 폐쇄
    [NNA] 베트남 국내감염 49명 증가, 호치민은 일부 폐쇄 베트남 보건부에 의하면, 8일 오후 6시까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국내감염은 전날보다 49명이 늘었다. 29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한 호치민시에서는 감염이 더욱 확산될 우려가 있다면서, 사회격리조치의 엄격한 실시를 촉구하는 총리지시 16호(16/CT_TTg)의 본격적인 시행도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호치민시 떤선녓 국제공항에서는 8일 오전, 4명의 신규 감염이 확인됐다. 아울러 이날 저녁에는 25명의 감염이 추가로 확인됐다. 8일 지역별 감염자 수는 호치민시가 29명, 꽝닌성이 3명, 하이즈엉성이 1 2021-02-09 15:35
  • [NNA] 베트남 정부, 2030년까지 노동시장 발전지원 계획 공포
    [NNA] 베트남 정부, 2030년까지 노동시장 발전지원 계획 공포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는 5일, '2030년까지의 노동시장 발전지원 프로그램'을 공포했다. 베트남 정부 발표에 의하면, 프로그램은 경제·사회발전을 위한 노동력 및 재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는 것과 노동력 인구 구성의 현대화, 국내외 노동시장의 결합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목표로는 ◇노동시장 수요에 맞는 기능을 보유한 노동자 확대 ◇직업훈련을 마친 노동자 비율을 2025년에 30%, 2030년에 35~40%까지 확대 ◇세계지적소유권기관(WIPO) 등이 발표한 기술개혁력지수 &# 2021-02-09 14:05
  • [NNA] 中 신생아 이름, 1위는 이천(奕辰)과 이눠(一诺)
    [NNA] 中 신생아 이름, 1위는 이천(奕辰)과 이눠(一诺) 중국 공안부는 지난해 중국에서 태어난 신생아 중 가장 인기가 많은 남자 이름은 '이천(奕辰)', 여자 이름은 '이눠(一诺)'라고 밝혔다. 신생아 이름에는 쯔(梓), 쯔(子), 위(宇), 천(辰), 이(一) 등의 한자가 많이 쓰였다. 남자 아이는 宇轩, 浩宇, 亦辰, 宇辰, 여자 아이는 依诺, 欣怡, 梓涵, 语桐 등이 이름으로 많이 지어졌다. 중국에서는 1990년대에 외자 이름이 유행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같은 이름을 피하기 위해 이름이 주로 두 글자로 지어지고 있다. 지난해 전국 공안당국에 2021-02-09 13:51
  • [NNA] 그랩 말레이시아, 백신 접종 관련 자사 운전기사 등 지원나서
    [NNA] 그랩 말레이시아, 백신 접종 관련 자사 운전기사 등 지원나서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호출·공유서비스 업체 그랩(GRAB)의 말레이시아 법인인 그랩 말레이시아는 4일, 국내 및 역내 운전기사들에 대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접종을 장려하는 프로그램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그랩 말레이시아에 의하면, 많은 운전기사들이 백신 접종에 참여하도록 회사는 백신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말 보건부가 실시한 조사에서 말레이시아인의 3명중 1명이 백신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랩은 동남아시아 각국 정부와 협력해 백신에 관한 올 2021-02-09 12:57
  • [NNA] 기린 합작사, 양곤공장 생산중단
    [NNA] 기린 합작사, 양곤공장 생산중단 주류, 음료 제조사를 운영하는 기린홀딩스의 미얀마 그룹회사는 8일, 최대 도시를 관할하는 양곤 관구에서 생산활동을 중단했다. 군부 쿠데타에 반대하는 항의시위가 확산되고 있으며, 종업원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조치다. 현지 일본인 주재원들도 조기 귀국에 나선다. 기린홀딩스의 홍보관계자에 의하면, 생산활동이 중단된 곳은 합작사 미얀마 브루어리(MBL)의 공장. "향후 가동재개는 상황에 따라 판단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 2021-02-09 12:29
  • [NNA] 印尼 당국, 中 시노백 백신 고령자에 접종 허가
    [NNA] 印尼 당국, 中 시노백 백신 고령자에 접종 허가 인도네시아 보건부는 7일 중국 시노백 바이오테크(科興控股生物技術)가 제조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과 관련해, 식품의약품감독청(BPOM)이 60세 이상 고령자에 대해 동 백신 접종을 정식으로 허가했다고 밝혔다. 우선 60세 이상 의료종사자 1만 1600명에 접종을 개시한다. 고령자에 대한 백신 접종은 28일간 간격을 두고 2회 실시된다. 부디 구나디 사디킨 인도네시아 보건부 장관은 "60세 이 2021-02-09 11:05
  • [NNA] 마카오에 첫 백신 도착... 10만회 분
    [NNA] 마카오에 첫 백신 도착... 10만회 분 중국 국영 제약사 시노팜(중국의약그룹) 산하 중국생물제품집단 베이징생물제품연구소가 개발·생산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이 6일 오후, 마카오에 도착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이 마카오에 도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마카오 정부에 의하면, 이번에 도착한 것은 10만회분(접종은 1인 2회)으로, 의료관계자 및 코로나 확산방지대책 최일선에서 일하는 공무원, 경찰과 소방대원, 교직원, 감염 위험이 높은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 고위험 지역에 출입국해야 하는 사람 등에 우선 접종 2021-02-09 1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