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에서 열린 자동차산업 활성화 간담회 | ||
정진행 현대차 부사장과 허문 자동차공업협회 부회장 등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은 9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해 자동차 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단기적인 지원 대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정진행 부사장은 "내수시장 확대를 위해 경유차 환경개선금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품협력업체인 ㈜진합의 이영섭 회장은 "지금 당장 업계에 지원이 이뤄져야 자동차 협력업체간 네트워크가 무너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허문 부회장은 "환경친화적인 기술개발에 획기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박홍재 자동차산업연구소장은 "노후된 차량을 폐차하고 새 차를 구입할 경우 정부가 이를 지원하는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며 "현재 10년 이상된 350만대의 차량 가운데 5%만 교체돼도 내수 진작 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현 한나라당 의원도 "전 세계적으로 차 산업을 대규모로 지원하는데 우리는 좀 소홀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라며 지원 필요성에 대해 공감을 표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경기 침체로 내수와 수출이 급감하면서 힘든 고비를 맞고 있는 자동차업계의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
정장선 지경위원장은 "노조도 연례 파업에서 벗어나 위기극복에 적극적으로 협력해 달라고 당부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우제창 의원은 "한미FTA(자유무역협정)가 수정되면 자동차분야가 표적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부는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채민 지경부 1차관은 업체에 대한 유동성 지원과 관련, "유동성 지원은 건강한 기업이 살아남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변해정 기자 hjpyu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