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중동붐' 일으킨다

  • 6월까지 민관합동 건설협의회 설치..한.중동 경제협력센터 설치도 검토키로..17일 대외경제장관회의

중동 진출기업 여신 대폭 확충..한·중동 경협방안 확정


정부가 올해 4% 이상의 경제성장이 예상되는 중동지역 공략에 나섰다.

1970년대 막대한 오일달러를 토대로 건설분야에서 일었던 '중동붐'을 이번에는 원전, IT, 고부가서비스 분야 등에서 재연하기 위한 밑그림을 내놓은 셈이다.

정부는 17일 과천정부청사에서 제86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중동 포스트-오일 시대의 상호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한ㆍ중동 경제협력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우선 '보건ㆍ의료분야 중동 진출방안'을 상반기에 수립하고 국내 기관이 중동 메디컬시티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연내에 카타르, 쿠웨이트, 사우디 등 3개국과 정부간 보건의료 양해각서(MOU) 체결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의료 정보기술 솔루션과 의약품, 의료기기의 수출 확대와 의료기관 및 인력 진출을 연계해 나가기로 했다.

의료사업의 해외 진출에 대해서는 다른 해외투자 기업과 같은 수준의 금융ㆍ보험 혜택을 주기로 했다. 이와 관련, 의료법인에 대한 수출입은행 해외투자자금 지원 근거가 마련된다. 현지 의료법인에 대해서는 수출보험공사 해외투자보험 요율을 10~20% 깎아준다.

2012년까지 경제발전 경험 공유사업을 통해 12개국을 지원하고 이라크(1억달러)와 팔레스타인(2000만달러) 재건계획 수립을 돕는다. 한ㆍ중동 경제협력센터 설립도 검토된다.

걸프협력이사회(GCC)와의 자유무역협정(FTA) 연내 타결도 추진된다. 중동측 합작 수요가 많은 중소기업과 물류ㆍ병원 분야를 중심으로 합작회사 설립을 돕고자 공공투자펀드의 참여도 유도한다.

금융 분야에서는 이슬람채권(수쿠크)을 발행할 수 있게 제도를 개선한다. 문화 분야에서는 온라인 게임의 아랍어 서비스를 통해 수출을 늘리고 한류 콘텐츠와 연계한 관광상품을 개발할 방침이다.

기존 항공승무원, 간호인력, 건설인력뿐 아니라 의사, 기술인력 등 전문인력의 중동 진출을 돕고자 국가간 협약    체결을 통해 건설기술인력 등에 대한 상호 자격 인정을 추진한다.

원전수출 중점 추진국을 대상으로 정부간 협의를 통해 수의계약 추진을 유도하고 정부ㆍ민간 공동투자방식 등을 제안하기로 했다. 대형 건설플랜트 수주에 필요한 프로젝트 파이낸싱 개선안을 상반기에 마련하고 중동지역 신도시 개발과 요르단의 홍해-사해 대수로 건설,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 6000억달러 규모의 이라크 재건시장 등에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중동 진출 기업에 대한 수출입은행의 여신 및 수출보험 규모를 오는 2013년까지 22조원과 24조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2배씩 확대된 것.

지난 5년간 1억4000만달러였던 저개발 중동국가에 대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지원액도 향후 5년간 5억달러로 늘린다. 중동에 대한 아프리카개발은행(AfDB)과의 협조융자도 2014년까지 1억달러 규모로 추진한다.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sh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