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 인해 전체 고위 공직자의 지난해 1인당 평균 재산액이 전년보다 1200만원 감소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일 공개한 중앙부처 1급 이상과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원, 교육감, 교육위원 등 1851명의 작년 말 현재 재산변동 신고내역에 따르면 1년전보다 재산이 감소한 사람은 42%인 774명으로 집계됐다.
재산 감소자 비율은 2008년 말을 기준으로 작년 3월 재산공개를 했을 때의 40.5%보다 소폭 늘어난 것이다.
작년 재산공개 때는 1인당 평균 재산 신고액이 전년보다 2800만원 늘었지만 올해는 12억8400만원으로 1200만원 줄었다.
재산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는 경기침체에 따른 부동산 공시가격 하락이, 재산 증가 요인으로는 펀드·증권 평가액 상승과 급여 저축 등으로 분석됐다고 윤리위는 설명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청계법인 장학기금 출연 등으로 304억원이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고, 김수남 경북 예천군수는 토지 상속세 납부 등으로 22억원 감소했다.
권광택 충북도의원은 공시지가 하락에 따른 손실 등으로 17억9000만원이 줄었고, 김은혜 대통령실 대변인도 건물 공시가격 하락의 영향을 받아 14억원 감소했다고 신고했다.
고위 공직자 중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사람은 총 79억7950만원을 신고한 지정구 인천시의원으로 주식 평가액 상승 등에 힘입어 46억4233만원이나 증가했다.
나종기 대구시의원과 김쌍수 한국전력공사 사장도 각각 19억7821만원과 15억6425만원이 늘어 그 뒤를 이었다.
행정부에서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사람은 진태구 충남 태안군수로 모두 246억5592만원에 달했다.
광역시.도 단체장 중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2억4500만원 가량 늘어난 55억9736만원을, 허남식 부산시장이 약 5000만원이 줄어든 12억4000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이번 신고 과정에서는 행정부 내 전체 공개 대상자의 16.4%가 직계존비속 1명 이상의 재산내역 고지를 거부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