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올해 은행권 인수·합병(M&A) 시나리오를 놓고 다양한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금융지주, 외환은행 등 매각 대상으로 거론되는 곳과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등 잠재적 인수자들 간의 신경전도 치열하다.
시장 전문가들은 최적의 '짝짓기' 조합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 우리금융, '메가뱅크'보다 '시너지' 극대화
전문가들은 우리금융 매각에 대해 정부가 메가뱅크 설립에 연연하기보다는 시너지 창출로 눈을 돌려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현재 메가뱅크 설립안을 두고 정부 내 이견이 상충하고 있다.
강만수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위원장은 은행의 대형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주장하는 반면,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이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민영화 일정도 지연되고 있다. 정부는 우리금융 매각을 전적으로 시장에 맡긴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일단 이 같은 정부의 입장을 고려해 말을 아끼고 있지만 메가뱅크보다는 시너지 창출에 무게를 둬야 한다고 조언한다.
덩치만 크다고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국내에서 충분히 역량을 쌓은 뒤 글로벌 금융기관으로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금융이 KB금융이나 산은금융 등에 합병될 경우 중첩되는 사업이 지나치게 많아 경쟁력 악화가 우려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하나금융처럼 주력 사업이 비대칭적인 곳과 엮어야 경쟁력과 규모를 한번에 잡을 수 있다는 논리다.
H증권 연구원은 "우리금융이 KB금융 등 대형 금융기관과 합쳐질 경우 중첩되는 사업이 많아 오히려 경쟁력이 하락할 수 있다"며 "하나금융처럼 기업금융이 취약한 곳과 합병해야 대기업·중소기업·가계·카드 등에 걸쳐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외환은행-KB금융 조합이 '최적'
우리금융에 비해 외환은행은 비교적 인수 주체가 구체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론스타가 외화은행 매각 의지를 분명히 한 데다 현금 매각을 추진하는 등 매각 방법도 명확히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론스타의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곳은 KB금융·신한금융지주·산은금융지주·HSBC 등이다.
이 가운데 외환은행과 가장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곳은 KB금융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평가다.
임승주 교보증권 연구원은 "국내 금융지주사 중 가장 규모가 큰 KB금융과 외환부문의 강점을 가진 외환은행이 합쳐질 경우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최근 한달 새 신한금융·산은금융·HSBC 등이 인수 포기를 공식 선언하며 국내 금융 기관 중 외환은행 인수를 염두에 두고 있는 곳은 KB금융 밖에 남지 않았다.
게다가 외환은행을 또 다시 외국계 자본에 넘길 경우 '먹튀' 논란에 휘말릴 수 있어 국내 인수자가 선정될 가능성이 크다.
김재우 삼성증권 수석연구원은 "론스타가 현금을 원하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할 여력이 있는 곳은 손에 꼽을 정도"라며 "외국계 자본도 가능성이 있지만 다시 해외로 넘길 경우 강력한 반발에 직면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KB금융은 회장자리가 공석이라 인수에 대한 구체적인 의사를 밝히지 못하고 있지만, 신임 회장이 선임되는대로 외환은행 인수에 본격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
yk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