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충현 기자) 외부 전원 없이도 저장된 정보를 잃지 않는 차세대 정보저장소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9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포스텍 화학공학과 김진곤(사진) 교수팀은 20nm(나노미터ㆍ1nm는 10억분의 1 미터)의 매우 작은 크기에도 강유전체 고유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초고집적 강유전 나노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 |
||
강유전체는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전기적 분극을 유지하는 물질로 센서나 액추에이터 등에 활용됐지만, 최근에는 기존의 휘발성 정보저장 소자를 대체할 비휘발성 소자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을 받았다.
비휘발성 정보저장 소자는 전원이 없이도 저장된 정보를 잃지 않는 특성이 있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부팅시간을 단축하는 등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강유전체 나노 구조 구현의 어려움과 현재까지 강유전성이 유지되는 크기가 60nm로 고집적화의 어려움 때문에 상용화할 수 있는 강유전 소자를 개발하지 못했다.
김 교수팀은 블록 공중합체가 형성된 나노 구조에 강유전체를 포집(捕集)해, 강유전성을 지닌 가장 작은 크기의 나노 입자 정렬 구조를 만들었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가 제거된 후에도 한 번 형성된 강유전체 나노 정렬 구조는 지속적으로 온전히 유지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김진곤 교수는 "이번 연구로 전원 없이도 저장된 정보를 잃지 않는 차세대 노트북, 컴퓨터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과학저널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5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ba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