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등급 건설사, "워크아웃 들어가기 전에 문 닫을 판"

  • C등급 건설사들, 공사비 못받고 납품 거부당해 "회생 가능 업체 가려내 자금지원 이뤄져야"

(아주경제 권영은 기자) 지난달 25일 발표된 금융권의 신용위험평가에서 워크아웃 대상으로 분류된 건설사들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워크아웃 등급 발표 직후부터 발주처들이 공사대금 지급을 지연시키는가 하면 건설 중인 아파트 계약자들의 해약 요구가 빗발치는 등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워크아웃 대상으로 분류된 C등급 건설사들이 진행하는 공사에 여러가지 장해가 나타나고, 일부 업체는 아예 영업을 중단하는 등 경영환경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A사의 경우 C등급 판정 이후 입주를 앞둔 수도권의 한 아파트 단지에선 해약 요구가 줄을 잇고 있다. 일부 입주 예정자들은 '차라리 A사가 퇴출 대상에 올랐으면 좋겠다'는 악의적인 글을 인터넷에 올리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 그리되면 계약 해지 사유가 뚜렷해지기 때문이다. A사는 올해 하반기에만 입주 물량이 5000여 가구에 달한다.

A사 관계자는 "이런 추세로 가다간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에 돌입하기도 전에 회사가 쓰러질까 걱정이다"며 "입주예정자들에게 공사는 물론 입주까지 차질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이런 추세로 가다간 공사를 중단해야 할 판"이라고 토로했다. 

B사의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다. 눈덩이 처럼 불어난 PF(프로젝트 파이낸싱) 금융비용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공사는 진행중이지만 하청업체에서는 자금 회수 독촉이 빗발치고 있다. 여기에 자체적으로 진행하던 대형 택지개발사업까지 멈춰서면서 자금압박이 심화되고 있다. 하지만 손 쓸 방안이 없다는 게 B사의 입장이다. 금융권의 회계 실사가 진행되는 3개월 동안 자금지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B사 관계자는 "가장 시급한 문제는 공사 대금 미지급"이라면서 "신용위험평가 발표 직후 시장의 불안감이 반영되었다고 하나, 현재 진행 중인 공공공사의 대금지급이 제 때 이뤄지지 않는 것은 너무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건설자재 업체들의 납품 거부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일부 자재업체들은 결제 지연 등을 우려해 공사현장에 레미콘, 철근, 시멘트 등의 납품을 꺼리고 있다.

C등급 판정 건설사들은 금융권의 회계 실사가 이뤄지는 3개월 동안 이 같은 상황을 모두 떠안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 이는 이번에 발표된 워크아웃 대상이 업체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일벙적으로 발표됐기 때문이라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과거에는 금융권의 회계 실사 후 자금지원 협약(MOU) 등을 거쳐 워크아웃 대상 기업을 발표해 경영상 타격을 최소화했으나 이번에는 금융권의 자금 지원이 막힌 상황에서 해당업체부터 서둘러 발표했다"면서 "C등급 건설사 중 금융권의 실사 과정에서 부도를 맞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또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워크아웃 개시 이전에 해당업체가 도산할 경우 정상적인 재무구조 확립을 통한 경영정상화라는 워크아웃 본연의 목적이 퇴색될 수 있다"며 "워크아웃이 퇴출은 아니듯이 회생 가능한 업체를 조속히 가려내 금융권의 자금 지원이 이뤄져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kye30901@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