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영욱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5일 "국정을 운영하면서 일 하나하나가 공정한 사회라는 기준에 맞는지, 맞지 않는지 스스로 냉철하게 생각하면서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장.차관 워크숍에서 "그렇게 되면 공직사회는 한단계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이같이 밝혔다.
아울러 "저도 국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업무 하나하나에 공정 사회 기준을 지키도록 노력하겠다"면서 "공정한 사회를 만듦으로써 한단계 격이 높은 나라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과거 정권이 창출될 때마다 선거자금이 문제가 됐다. 이번 정권은 그로부터 자유로운 유일한 정권이어서 우리 정권에서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것은 하나의 소명이라고 볼 수 있다"면서 "이번 정권하에서 대한민국이 공정한 사회를 만든다는 것이 마지막 기회일 수도 있고, 매우 좋은 기회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국민 모두에게 공정한 사회를 만들자고 주장하기에 앞서 공직사회, 권력 가진 자, 힘 가진 자, 가진 사람, 잘 사는 사람이 공정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당부하고 "국민에게 먼저 공정 사회를 요구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꼼꼼히 살펴보면 우리 산업화는 원천기술이 없는 산업화여서 사실 선진국의 산업화라고 할 수 없고, 민주화가 됐다고 하지만 진정한 민주주의 사회는 이루지 못하고 있다"면서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룬 국가로서 자만할 게 아니라 한단계 더 높이는 중대한 과제가 우리 앞에 주어져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것이 되지 않으면 우리는 경제를 한단계 더 높이는 것도 제한이 따를 것이고, 사회는 갈등과 분열을 해소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런 것을 이루려면 공정한 사회가 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저는 이번 총리 이하 국무위원 임명 과정에서 공정 사회에 맞지 않는 결과를 만들었기 때문에 책임이 전적으로 대통령에게 있다고 생각한다"며 "아픔을 무릅쓰고 인사추천을 취소했다. 또 불행히도 외교장관의 문제가 또 생겼는데 보통때 같으면 오래된 관습이라면 통과될 수 있는 문제인지도 모르지만 공정 사회를 기준으로 보면 용납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 두가지 일을 놓고 공직사회의 기준이 될 것이라고 본다"며 "공직사회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공정 사회라는 기준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kyw@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